주주 모집에 실패 6년째 제자리 걸음, LNG 비축 용도 추가
부지 면적 줄었지만 사업비는 1700여 억원 증액 편성
김삼화 의원 '당초 사업 취지 부합*실현 가능성 검토돼야'

2013년 11월에 열린 울산 동북아 오일허브 구축 사업 기공식에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참여하며 독려했지만 1단계 사업인 북항은 여전히 투자자도 모집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사진은 당시 기공식 장면.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울산 동북아오일허브가 LNG터미널로 사업 변경이 추진중인 가운데 국제 석유 물류 중심을 지향하던 사업이 내수 LNG 저장기지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주주 모집에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산업통상자원부가 당초 사업 추진 목적에서 벗어난 LNG 저장 기지 건설로 선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책사업으로 추진되어 온 동북아오일허브 울산 북항 사업은 투자자 모집을 시작한지 6년이 지난 지금까지 주주모집을 완료하지 못한 상태다.

박근혜 정부 시절이던 2014년, 울산 북항 오일허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특수목적법인인 코리아오일터미널(주)를 설립했지만 투자자 모집에 실패하면서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코리아오일터미널 설립 당시 정부는 석유공사 51%, 글로벌 물류 기업인 보팍 그룹(로얄보팍․보팍 아시아) 38%, S-OIL이 11%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외국계 기업인 보팍은 투자 의사를 철회했고 현재는 석유공사와 S-OIL이 회사 운영을 위한 기본 출자금만 납부하면서 연명중이다.

국회 김삼화 의원(바른미래당, 비례대표)에 따르면 울산 북항 터미널 사업에 주주사로 참여 예정으로 알려진 포스코대우와 Prostar(프로스타)도 투자를 확약한 것은 아니다.

이처럼 주주 모집에 거듭 어려움을 겪으면서 산업부는 울산 북항 사업의 잔여 투자 지분 유치를 위해 오일허브 사업 내용을 ‘석유제품 위주에서 LNG 등 저장 유종 다양화’로 변경중이다.

민간 LNG 복합화력 발전사업자가 자가발전용 연료 저장시설로 이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는 것.

이에 따라 북항 터미널 사업은 당초 예정되어 있던 부지 면적인 30만㎡에서 절반 수준인 15만㎡으로 축소됐고 터미널 용도중 석유 취급량도 기존 계획의 1/5가량으로 줄어든 상태로 수정 추진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면 사업비는 1000억 원 이상 증가된다는 분석이다.

◇ 예비타당성 재조사 피하려 예산 증액도 조정 

김삼화 의원실에 따르면 울산 북항의 기존 총 사업비는 5862억원이었는데 석유공사가 밝힌 사업비 조정 규모는 7000억~7300억원 규모로 늘었다.

산업부는 예비 타당성 재조사를 받지 않도록 기존 사업비의 30% 이내인 1758억원 이내로 사업비를 증액하는 방안도 모색중이다.

문제는 LNG터미널이 건설되면 본래의 동북아오일허브 설립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제로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부는 오일허브 사업의 기대효과로 ‘석유안보 제고, 전후방 연관 산업 고용창출, 석유물류 활성화에 따른 금융업무 확대, 국내 석유산업 경쟁력 제고, 동북아 국가간 협력’를 제시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자가발전용 LNG 공급용 시설이 들어설 경우 이러한 효과는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이 김삼화 의원측의 지적이다.

관련 인허가 및 승인을 위해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더 걸릴 예정이지만 산업부와 석유공사, 가스공사 간 별다른 협의는 없었다는 점은 정부 기관 간 사업 중복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현재 가스공사는 81만㎘의 저장 탱크를 구축하고 있고 2031년까지 120만㎘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직도입 발전사업자들에게 LNG터미널 시설 일부도 대여중이다.

이와 관련해 김삼화 의원은 “동북아오일허브 사업을 조속히 정상화시키려는 노력은 필요하지만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당초의 사업 취지에 부합하는지 여부와 사업의 실현가능성 등에 대해 먼저 면밀히 검토해봐야 한다”며 싱가포르 처럼 동북아 석유 물류 중심을 구축하겠다던 당초의 오일허브 비전이 내수 LNG 저장시설로 추락하는데 대한 심각성을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