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환 의원, 배터리 제어시스템(BMS) 오류 문제 제기
가스*변전소 등 위험물관리시설 인근도 설치, 2차 사고 우려
‘전면적 실태 점검*설치 이격거리 신설 등 안전 기준 강화’ 주문

▲ 영암 풍력발전소 ESS 설치 컨테이너 화재 사고 이후 모습.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에너지 저장 장치인 ESS(Energy Storage System)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배터리 제어시스템 오류 등과 관련한 전면적인 실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상고온 현상으로 각종 화재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최근 발생한 ESS 화재·폭발 사고의 원인이 배터리 제어시스템(BMS) 오류로 인한 화재·폭발 사고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국회 김규환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년간 발생한 ESS 화재 폭발 사고는 7건에 달하고 있다.

사고 발생 장소도 다양한데 고창·경산에서는 변전소에서, 영암·거창은 풍력발전소에서, 군산과 해남은 태양광발전소, 세종아세아제지에서는 피크제어용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이로 인한 재산피해가 200억원에 달했다.

 

이들 사고의 공통점은 기온이 높아지는 5∼8월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배터리가 열에 취약한데 따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배터리 제어 시스템 제 역할 못해

김규환 의원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의 사고 조사 결과 경산과 영암, 거창 사고의 경우 ESS 안전관리를 위해 도입한 삼성SDI BMS의 시스템 오류가 발생했다.

국내 전체 ESS는 1008 곳인데 이중 삼성SDI의 ESS는 580곳에 달한다.

이외에 LG화학 제품이 400 곳 수준이며 나머지는 코캄, 탑전지, 인셀 등이 차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도입된 ESS는 2928MWh, 1조5811억원 규모에 달한다.

하지만 화재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배터리 제어시스템(BMS)은 사고 당시 이상 고전압 차단, 열 감지, 배터리체크 등의 사전 감시기능을 수행하지 못했고 퓨즈 불량 등의 제품 결함도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 김규환 의원의 지적이다.

ESS 안전에 심각한 위험성이 발견된 셈으로 이와 관련해 지난 7월 삼성SDI는 충·방전을 배터리 용량의 70% 이내로 사용토록 고객에게 권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LG화학은 현재 화재 원인을 규명중이다.

이에 대해 김규환 의원은 ‘삼성SDI의 BMS가 과도한 충전, 열 발생 등의 문제를 사전에 체크하지 못했다는 것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실제로 BMS는 이상 고전압, 퓨즈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사전에 전압을 차단했어야 했는데 이번 조사결과에 의하면 BMS가 시스템 오류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ESS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없어 위험물 관리시설 인근에 위치하는 문제도 지적했다.

ESS 화재·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2차 사고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규환 의원에 따르면 국내 천연가스 사고는 5건으로 이중 LNG누출 사고가 2건, CNG사고가 3건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위험물 관리 시설 내에 ESS가 아무런 제약 없이 설치되어 있어 ESS 화재·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연쇄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사고 발생시 정전사태, 화재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변전소 내의 ESS 역시 조천, 서안성, 신계룡 등 전국적으로 14곳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규환 의원은 “산업부는 전체 ESS 설치 사업장을 대상으로 전면적 안전관리 실태점검과 선제적 사고 예방 조치를 취하는 한편 CNG와 LNG 등의 위험물 관리시설과 변전소에 ESS를 설치할 때에는 이격거리 등의 안전관리 기준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