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公, ‘수소 융・복합 충전소 부지 연구’ 진행[Br]수소 충전기 설치가능 도심지역 LPG충전소, 16%에 불과
복층형 수소 충전소‧패키지형 수소 충전소 대안으로 제시

▲ 대구에 위치한 한 LPG충전소의 모습(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함).
[지앤이타임즈 박병인 기자] 수소충전소 보급을 확대하는데 있어 가장 걸림돌이 되는 부분은 부지확보다. 수소충전소는 안전거리 확보, 인근주민의 수용성 등을 이유로 상당히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규정상 고압가스로 분류되는 수소는 LPG, CNG와 마찬가지로 주거지역 등 보호시설로부터 충분한 안전거리, 즉 이격거리가 확보돼야한다.

저장식 수소자동차 충전 시설 기준에는 1종 보호시설과의 거리는 17m, 사업소 경계면과의 거리는 10m, 도로와의 경계는 5m를 반드시 이격해야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 때문에 LPG충전소에 수소충전기를 병행 설치하기 위해서는 부지면적이 최소 1500㎡ 이상 돼야 한다.

다만 두께 12cm 이상의 철근 콘크리트 또는 이와 같은 강도의 방호벽을 설치해 이격거리를 축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지면적은 800㎡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 같은 기준을 토대로 한국가스안전공사(사장 김형근)은 ‘국내 LPG 충전소 내 수소 융・복합충전소 구축 가능 부지 연구’를 통해 국내 LPG충전소 중 수소 융복합 충전소 구축이 가능한 LPG충전소들에 대해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 가스안전공사는 전국의 899개소의 LPG충전소를 대상으로 수소 융·복합 충전소 설치가능여부 조사를 실시했는데, 이 중 안전기준을 만족하는 LPG충전소는 349개소로 조사됐다.

특히 가스안전공사는 수소충전소 보급에 있어 중요한 부분인 현재 광역시 등 대도시에 위치한 LPG충전소 415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66개소가 설치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소 융・복합 충전소 설치가 가능한 LPG충전소는 전국기준으로 약 39%에 불과한 것이다.

특히 접근성 등을 이유로 도심지역에 많은 수소충전소가 보급돼야하지만, 부지문제로 인해 수소 융·복합 충전소 구축이 가능한 LPG충전소가 16%에 불과하다는 점은 수소연료 보급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해결이 필요한 문제다.

◆ 안전거리 확보의 새로운 대안, ‘복층형 수소 충전소‧패키지형 충전소’

기존에 설치돼 있는 수소충전소들은 대부분 안전문제 때문에 도심에서 벗어난 외곽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수소충전소 보급이 시급하나, 앞서 설명했듯 현재로써는 부지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에 안전거리를 줄이고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복층형 충전소’와 ‘패키지형 충전소’가 제시되고 있다.

먼저 복층형 충전소는 LPG충전소, 주유소 등에 설치돼 있는 캐노피 위에 수소저장, 처리설비를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수소충전기, LPG충전기 등 위험 시설들을 넓이가 아닌 높이로 분산했기 때문에 이격거리를 축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실제로 수소를 일찍부터 도입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캘리포니아에 복층형 수소 융・복합 충전소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김해시와 인천시에 위치한 CNG충전소에 복층형태로 수소 융‧복합 충전소를 구축한 사례도 있다.

패키지형 수소충전소는 모든 충전설비가 컨테이너 안에 설치된 형태다. 철근 콘크리트 12cm 수준의 방호벽을 설치하면 이격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와 동등한 수준의 방호력을 갖는 컨테이너를 제작하고, 컨테이너 안에 수소 저장설비와 충전설비를 설치해 이격거리를 축소하는 방식이다.

다만 패키지형 충전소는 공간제한 때문에 일반충전소에 비해 충전 용량은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가스안전공사 관계자는 “복층형과 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활용해 접근성이 높은 도심지역에 인프라를 확대해 나간다면 운용수익 증대를 통한 수소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