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전기장판 하나에 의지해 강추위를 버티던 한 여중생. 더욱 어려워진 가정형편에 전기요금 마저 내지 못해 단전된 채 여름을 맞았다.

해가지고 어두워지면 촛불에 의지할 수 밖에 없었는데 불행히도 그 촛불에 의한 화재사고로 2005년 7월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에너지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폭됐고 이듬해인 2006년 12월 한국에너지재단이 설립됐다.

인간으로서의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에너지공급을 보장해주는 취지로 서립된 에너지재단은 2007년부터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을 추진해 현재까지 소외계층 43만2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총 4120억원을 지원했다.

하지만 아직도 한겨울 쪽방촌에서는 화재로 인해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내․외부 온도 차이가 거의 없는 냉동고 같은 방에서 잠을 청하는 이웃들이 많다.

그렇기에 지난달 31일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에너지재단의 각오는 남다를 것이다.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30% 늘어난 638억6500만원의 예산이 편성됐으며, 가구당 평균 지원금액도 지난해 17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상향됐다.

이제 어떻게 지원하느냐의 문제이다.

단순히 소외계층이라는 한단어로 에너지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을 표현하지만 지역마다 가정마다 처해있는 상황은 나름의 사연이 있을 것이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 역시 제각각 다를 것이다.

에너지재단은 지난해 10년 미래 비전을 선포하고 소외계층에 대한 전략적 집중 지원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에너지산업은 하루가 다르게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에너지전환으로 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의 확대가 점쳐지는 반면 값싼 에너지의 근간이 됐던 원전과 석탄 등은 서서히 퇴출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에너지전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2022년 이후에는 에너지가격이 상승되며 에너지복지 사각지대에 처해있는 이웃들을 더 곤경에 내몰 수도 있다.

새롭게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에너지재단이 전략적 집중 지원을 더욱 확대하는 동시에 보다 면밀한 대상가구 수요예측을 해야 에너지복지 사각지대에서 일어나는 안타까운 사고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