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식용유서 추출되는 ‘피치’가 바이오중유 원료…친환경성 검증
석유발전소 시설 그대로 이용‧비용보전 無…경제성도 뛰어나
바이오중유 연간 가중치 1%…바이오E協, ‘더욱 확대 필요’

[지앤이타임즈 박병인 기자] 정부가 '탈원전, 탈석탄' 정책을 내세우면서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발전연료시장이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바이오에너지업계가 발전연료 전환 과정에서 바이오중유도 중용(仲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바이오중유는 질소산화물, 미세먼지를 거의 배출하지 않아 환경보전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이다.

또한 바이오중유는 생산과정도 친환경적이다. 폐식용유를 가공해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추출되는 ‘피치’가 바이오중유의 주 원료이기 때문에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특히 바이오중유를 사용하면 기존 석유발전소를 개조하지 않고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이득이다.

아울러 바이오중유는 수급측면에서도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바이오에너지협회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중유 생산능력은 280만㎘로, 국내 모든 석유발전소가 바이오중유로 전환되더라도 차질 없이 수급이 가능하다.

◆ 정부,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 진행…친환경성 인정 받아

발전용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은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약 5년 간 시행되고 있다.

이 기간동안 정부는 바이오중유 공급량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데, 바이오에너지협회에 따르면 2014년 17만9353㎘를 공급을 시작으로 2015년에는 35만3284㎘, 2016년에는 44만3618㎘ 등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지난해에는 약 50만㎘를 공급했다.

정부가 바이오중유의 공급량을 점차적으로 늘려도 수급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국내 바이오중유 시범보급 사업은 ‘세계최초’로 진행되고 있어 그 의의가 깊다. 79MW급 발전기에 세계최초로 상업운전을 실시하고 있으며, 서계 최대 규모인 100MW급 발전기도 최초로 상업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시범 보급 기간동안 석유관리원, 5개발전사, 전력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은 공동으로 바이오중유의 품질을 개선‧향상시키기 위해 R&D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시범기간 동안 바이오중유의 생산과정이 친환경적이라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바이오중유의 핵심적인 원료는 바이오디젤 공정의 부산물인 피치와 바이오디젤 원료의 전처리 시 얻어지는 FFA(Free Fatty Acid), 음식물쓰레기에서 얻어지는 음폐유 등 다양한 폐자원을 이용하고 있다.

국내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미세먼지 감축, 수질개선 등 환경보존 효과를 비롯해 다양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석유발전소 개조 없이 사용 가능…경제 보전 효과도 뛰어나

바이오에너지업계는 정부가 석유화력발전소를 무리하게 철폐하는 대신 기존 석유발전설비를 유지하면서 바이오중유를 활용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석유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문제는 정부의 계획대로 석유화력발전소를 폐쇄하게 되면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타격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바이오에너지업계는 바이오중유를 발전연료로 쓰면 기존 석유발전소 설비를 그대로 활용해 폐쇄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경개선 효과도 얻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연료 간 가격경쟁을 유도해 가격이 발전원가가 낮아질 수 있고, 발전원료가 다변화 되면서 에너지안보 측면에서도 크게 도움이 된다.

특히 바이오중유를 활용할 경우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 발전차액에 대한 지원금이 들지 않아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면 석탄, 원자력 발전보다 발전원가가 비싸지기 때문에 정부는 증가한 비용만큼을 국고로 전액 지원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바이오에너지협회 측은 신재생에너지발전 비용보전 명목으로 연간 3000억원의 정부예산이 지출되고 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바이오중유는 신재생에너지와는 달리 별도의 보조금을 지급할 필요가 없어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

물론 바이오 중유의 단가가 일반 석유에 비해 비싸 발전단가가 상승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급전지시 때에만 가동되는 석유발전소의 특성상 전기요금 상승효과는 극히 미미하다는 것이 바이오에너지협회의 설명이다.

◆ 바이오에너지업계, ‘바이오중유 의무함유 비율 늘려야’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장려하는 이유는 환경성이 뛰어나고, 고갈되지도 않는다는 점이다.

바이오중유도 신재생에너지와 마찬가지로 환경개선효과가 뚜렷하며 식량이 존재하는 한 무한정으로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극 장려해야 한다는 것이 바이오에너지업계의 주장이다.

특히 바이오에너지업계는 바이오중유의 RPS 비율을 상향하는 방식으로 바이오 중유를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올해 바이오중유 RPS 비율은 5%이고, 매년 1%씩 증가하고 있다. 오는 2023년까지 10%로 증가될 예정이다. 

또한 현재 바이오중유 생산 업체 수는 22개사에 이르고 이들의 생산 능력은 약 280만㎘에 달하기 때문에 국내 모든 석유발전소가 바이오중유로 전환되더라도 큰 차질 없이 수급이 가능하다고 바이오에너지업계는 자신했다.
바이오에너지협회 관계자는 “현재 바이오 중유 품질개선 R&D는 거의 완료된 상황으로, 당장 상용화해도 큰 문제가 없다”며 “이제는 정부가 본격적으로 바이오중유의 상용화 대책을 수립해야 할 때”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또 “바이오중유는 자원고갈의 문제가 없는 데다 연간 가중치를 확대하더라도 정부의 비용지원이 없기 때문에 예산절약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