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제주도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만큼 파격적인 전기차 확대 정책을 시도중이다.

오는 2030년까지 37만 여대로 추산되는 도내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대체하겠다는 ‘카본 프리 아일랜드(Carbon free island)’ 로드맵을 추진중이다.

이 때가 되면 내연기관자동차를 포함해 전기차 이외의 그 어떤 환경친화자동차도 제주도에서 발을 붙이지 못하게 된다.

제주도의 실험이 주목받는데는 섬이라는 폐쇄성 때문에 내연기관자동차가 내륙에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용이하다는 점이 꼽힌다.

제주도가 정책적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고 특히 렌트카나 택시 등 대량 구매가 가능한 업종을 전기차 전환 타깃으로 삼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띄는 대목중 하나다.

전기차 확대 보급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되고 있는 충전인프라 구축에도 적극적인데 내연기관자동차 대상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는 물론이고 관공서, 식당 등 다양한 장소에 충전기를 설치하며 충전 네트워크 구축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촘촘한 충전 인프라를 구축중인 제주도의 실험은 분명 의미 있는 시도가 분명한데 그 과정에서 간과돼서는 안 될 중요한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에너지 생산 과정도 청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국전력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11월 기준 제주도내 전력 의존 비중은 육지 전기가 42%를

차지하고 있다.

해저 송전 케이블을 연결해 내륙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것인데 수입 전력의 대부분이 환경 오염 기여도가 높은 석탄화력발전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체적으로 수급 가능한 전력중에서도 화력발전 기여도가 40%에 달하고 풍력과 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17%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전기차 자체는 청정할지언정 그 안에 공급되는 전력은 청정하지 않다면 제주도가 지향하는 ‘카본 프리 아일랜드'는 요원해지게 된다.

전기차 확대 추세에 맞춰 제주도는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를 모색중인데 풍력은 주민들의 소음 민원, 환경단체의 환경 파괴 주장 등에 가로 막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고 태양광 발전은 확대할 수 있는 용량 한계로 늘어나는 친환경 전력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내용물이 깨끗하지 못한데 담는 그릇이 청정하다고 겉모습만 보고 환경 친화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제주도의 실험이 성공하기 위한 진정한 조건은 전기차를 얼마나 보급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전기차안에 담겨질 전기를 얼마나 깨끗하게 생산하고 자급자족할 수 있는가에 맞춰져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