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김신 기자] 1960~70년대만 해도 연탄은 가장 대중적인 연료였다.

중요한 난방 에너지였던 탓에 겨울나기에 앞서 집집마다 연탄을 쌓아 놓는 것이 필수 코스였다.

밤 사이 구들장 틈새를 파고 든 연탄 가스에 중독된 이들의 뉴스가 사회면을 장식했고 동치미 국물이 가스를 해독시켜 준다는 민간 요법이 유행했다.

그런데 석유가 주요 난방에너지가 되는 시절로 전환됐고 아파트 등 공공주택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는 농어촌이나 도심 뒷골목 달동네에서는 연탄이 여전히 중요한 난방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제 연탄은 사회적 약자들이 사용하는 연료가 됐다.

정부가 원가 보다 낮은 가격에 정책적으로 연탄을 공급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연탄 생산 원가가 있을텐데 정부는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최고 판매 가격을 설정해 더 이상 올리지 못하게 제한하고 원가와의 차액을 보전해주는 ‘탄가 안정 대책’을 운영중이다.

그런데 매년 정부의 탄가 안정 보조 예산이 줄어들고 있다.

2016년에 2028억원이 집행됐던 것이 올해는 1759억원으로 줄었고 내년 예산도 1551억원으로 편성됐다.

2020년이면 탄가 보조 예산은 모두 사라질 전망이다.

우리 정부가 2010년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2020년까지 석탄·연탄 가격보조금 폐지를 담은 화석 연료 보조금 폐지 계획을 제출했기 때문이다.

이제 연탄가격은 현실화되고 에너지 빈곤층이 부담하는 에너지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탄가 안정 지원 예산이 줄면서 정부가 저지하던 연탄 최고 판매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부는 매년 연탄 최고 판매가격을 19.6%씩 인상시킨다는 계획인데 2020년이면 지원액은 ‘0원’이 된다.

이에 대비해 정부는 에너지 바우처 사업의 일환으로 저소득층에 연탄 쿠폰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내년 연탄 쿠폰 지원 단가를 올해와 동일한 가구당 23만5000원으로 산정해놓고 있다.

연탄 구매 가격은 20% 가까이 오르는데 정부 지원은 동결되는 셈이니 에너지 빈곤층 부담을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아니면 늘어나는 비용 부담 만큼 난방을 줄이는 수 밖에…

사회적 복지에 에너지의 보편적 사용이라는 개념이 포함된 지금.

여전히 연탄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이들이 겨울철 창고에 그득히 쌓아놓던 과거 시절의 연탄을 부러워하며 웅크리는 겨울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