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정부는 ‘9.26 미세먼지관리 종합대책’을 통해 PM2.5기준 초미세먼지의 배출량을 2022년까지 2016년 대비 30%이상 감축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노선버스의 CNG버스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대중교통수단의 친환경성을 제고해 나가겠다는 대통령 공약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범정부적 대책에 건설기계, 선박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방안은 포함된 반면 육상 수송분야의 화물용 경유트럭에 대한 대책은 빠져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고 업계는 토로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범정부적 대책과는 별도로 천연가스차량협회는 환경부, 가스공사와 함께 우선 화물용트럭의 LNG전환방안을 모색 중이다.

하지만 업계 스스로 풀어나가기에는 힘겨워 보이는 과제들이 산더미이기에 정부의 정책 지원 부재에 대한 아쉬움은 짙게 남을 수 밖에 없다.

가장 시급한 점은 충전 인프라 구축이다. 현재 LNG 충전소는 전국 7개소에 불과하다.

업계에서는 LNG 화물차가 정상적으로 운행되기 위해선 적어도 40개소의 충전소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지만 관련 사업자들을 설득하고 투자를 받기까지 만만치 않은 과정이 예고돼 있다.

업계에서는 공영차고지나 화물터미널에 천연가스 충전소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방안과 함께 부지비 지원 혜택, 혹은 수소‧전기차 충전소와 같이 설치비 지원까지 이뤄진다면 LNG 화물차 보급을 더욱 빨리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CNG 자동차 초기 시장과 마찬가지로 법적으로 이동 충전을 허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대도시의 미세먼지(PM10) 배출기여도 중 도로이동 오염원이 가장 큰 32%를 차지하고, 그 중 경유 화물자동차가 63%의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가운데 LNG 수송 방식은 항만 야드트랙터 보급을 통해 친환경성과 경제성이 입증되고 있다. LNG 화물차가 수송분야 미세먼지 해결사로 떠오르는 이유이다.

지난 2008년 한차례 좌초된 바 있는 LNG 화물차가 본격 상용화 되기 위해선 업계의 노력도 중요하겠지만 정부의 정잭지원이 뒷받침돼야 민간의 투자가 따라올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