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기술개발에 내년부터 7년간 1158억 투입
민관 공동으로 사전 진단*예방 고효율 기술 개발 추진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정부가 지하와 지상 등에 설치된 시설물로 오염토 정화에 어려움을 겪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18년부터 2024년까지 7년간 총 1158억 원을 투자하는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국고 1011억원과 민자 147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지난11일 통과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하철 등 지하공간, 상부에 도로 등 시설물이 있어 정화가 곤란한 부지, 오염물질 누출시 환경영향이 큰 유독물 저장시설 등으로 인한 땅속 오염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환경기술이 내년부터 본격 개발된다.

환경부는 지난 2008년부터 올해까지 땅속 10m 내․외의 저심도에서 발생한 오염토양의 농도와 범위를 조사 평가하는 기술과 오염된 토양을 굴착한 후 지상에서 정화하는 기술 등을 중점 개발해 왔다.

하지만 최근 땅속 깊은 곳까지 지하 이용 공간이 확대되고 깊은 심도에 매설되는 시설물이 늘어나고 있어 기존 토양․지하수 정화기술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 상시 누출 감시 시스템 확대 적용 추진

이번 사업은 땅속 오염을 사전 진단·예방하는 기술과 오염을 신속하게 차단·정화하는 고효율의 기술을 개발하되 3가지 주요 이슈 해결을 위한 기술이 중점 개발된다.

먼저 지하 수십미터의 깊은 곳까지 설치된 지하철 등 환경적으로 취약한 지하이용 공간의 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피해를 예방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지중시설로부터의 오염물질 누출을 조기에 발견·차단·정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도 추진된다.

현재 주유소 유류저장 탱크의 누출을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현장에 적용하고 있지만 오염물질 누출시 환경 피해가 큰 유독물 저장시설, 대형 수송관 등 시설과 고심도에서 오염물질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오염감지 성능이 우수한 측정센서를 장착한 고성능 측정장비를 개발하고 정보통신기술과 연계하여 신속한 경보가 가능한 ‘상시 누출감시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고 그 대상 시설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중시설 유발 오염 감시 기술.

상부에 도로나 건물 등 지장물이 존재하는 부지 등 정화가 곤란한 부지는 부지 특성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런 부지는 오염토양을 굴착해 정화하거나 오염지하수를 양수하는 방법 등 기존 정화기술 적용에 한계가 있어 지중에서 직접 정화하는 기술, 오염지하수 이동 흐름을 차단하는 기술, 지하수 중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오염부지에 미생물을 활용한 정화기술 등 굴착 또는 양수를 하지 않고도 고효율·저비용으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현장기술을 개발하고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김지연 토양지하수과장은 “땅속 오염의 사전예방에서부터 정화·검증·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선진적인 환경관리 기술을 개발하여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지중 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