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탈 원전·석탄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확대. 바로 문재인 정부 에너지전환의 핵심이다.

향후 수립될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전체적인 윤곽과 함께  구체적 실행 계획들이 마련될 것이다.

에너지전환이라는 큰 그림에서 신재생에너지는 주도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신재생에너지라 하면 태양광이나 풍력, 지열과 같은 에너지원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즉 깨끗하고 안전하면서도 세계 기후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원에 속해 있으면서 이 같은 이미지에 반하는 것이 있으니 바로 바이오매스 ‘우드펠릿’이다.

우드펠릿은 목재가공 과정에서 버려지는 나무와 톱밥으로 만드는 고체연료이다. 현재 화력발전에서 유연탄에 우드펠릿을 섞어 ‘혼소발전’ 형태로 이용된다.

정부는 우드펠릿이 버려지던 자원(나무)을 재사용한다는 이유로 신재생에너지로 분류하고 있다.

문제는 발전사들이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 할당량을 채우기 위해 태양광이나 수력, 풍력 보다는 손쉬운 우드팰릿을 선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체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량에서 바이오에너지 비중은 2012년 10.3%에서 2015년는 무려 39.6%로 4배 증가한 점이 이를 방증한다.

우드펠릿이 법적으로 현재에는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돼 있지만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정책적 재고가 필요하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특히 국립환경과학원의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우드펠릿은 석탄연료와 비슷한 수준의 먼지와 질소산화물이 배출됐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국회에서도 이 같은 정책적 허점을 손질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됐으며 환경단체역시 개선 필요성이 높다고 정부에 꾸준히 건의하고 있다.

진정한 의미의 에너지 전환을 뜻하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정통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기 위해선 펠릿을 이용한 의무공급량 제한 등의 제도가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