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천연가스 인프라 사업 해외진출 TF’ 발족
가스공사‧건설‧조선‧해운‧금융사 구성된 융합 연합체
단순 건설공사 넘어 총체적 관리·유지보수까지 맡을 것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정부가 국내 기업들의 해외 천연가스 인프라 시장 진출을 위해 팔을 걷었다. 30여년간 축적된 국내 천연가스 산업의 노후와 기술, 시공능력을 본격적으로 수출상품화 한다는 구상으로 공기업과 대-중소기업이 참여하는 특별팀이 만들어졌다.

산업부는 2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천연가스 인프라(downstream) 사업 해외진출 TF’ 발족식을 열고, 천연가스 인프라사업 해외진출 전략을 발표했다.

세계 천연가스 인프라 시장은 세계적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따른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수요 증가와 셰일가스 개발 확대 등으로 향후 10년간 약 370조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국내 천연가스산업의 기술의 해외진출 전략을 마련하고, 대기업·중소기업·공기업 간 ‘융합 연합체(얼라이언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특별팀(TF)를 발족했다.

‘천연가스 인프라사업’은 최종 소비처에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수기지, 배관 등 제반 기반시설(인프라)의 개발·투자·건설·운영 및 기술용역을 통칭하는 것이다.

천연가스분야는 자원 개발·탐사 사업과 비교해 유치국 정부 및 국제기구의 지급보증,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으로 인해 투자 위험성이 낮고, 장기간·대규모의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즈벡 ‘수르길 프로젝트’에 가스공사, 대기업 3개사와 중소기업 312개사가 참여한 예에서 보듯이 기자재 조달, 엔지니어링, 건설 등 다양한 산업군의 참여로 중소기업 동반 진출에 유리하다.

국내 천연가스 산업은 천연가스 도입 개시(1986년) 이후 30년간 공급 안정성 관리에 역량을 집중하며 세계 2위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으로 발돋움하며 양적·질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이에 30년간 축적한 가스공사의 인수기지·배관망 운영 노하우·기술과 우리 건설사의 국제적 시공능력을 융합, 시너지 효과를 창출함으로써 수주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해외진출 전략’을 마련하게 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 국가별 맞춤형 모델로 수주 강화

산업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해외 인프라사업을 유형화하고, 사업범위와 대상국가, 투자규모, 인력수급 등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한편 국가별 맞춤형 모델을 개발해 수주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또한 공·사기업 합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한 최초의 천연가스 해외 인프라 투자·운영사업인 ‘멕시코 만사니요 터미널 건설·운영 프로젝트’와 같이 단순한 건설공사를 넘어 총체적인 관리·유지보수까지 수출상품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2008년부터부터 추진된 멕시코 만사니요 프로젝트는 국내 기업이 3억8000만달러를 투자해 6억6000만달러를 즉시 회수했으며 이후 20년간 8억5000만달러, 총 15억 달러를 회수하게 된다.

특히 해외 프로젝트 관련 정보·기술의 교류를 위해 가스공사, 건설사, 조선사, 해운사, 금융사 등으로 구성된 ‘융합 연합체(얼라이언스)’ 플랫폼인 ‘천연가스 인프라사업 해외진출 TF’를 운영할 계획이다. 특별팀(TF) 내에서도 구체적인 프로젝트 별로 특별팀(TF)도 구성·운영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최근 발표된 ‘에너지신산업 종합대책’ 포함된 스마트 가스계량기인 원격검침(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해외진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특별팀(TF)은 8월초부터 구성·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부 김용래 에너지산업정책관은 “마케팅부터 계약체결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천연가스 인프라사업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수주경쟁력을 제고하고 동반진출 효과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10년간 5만5000km 배관망 신설 예정

최근 중국과 인도, 중동 등 LNG 수요의 증가 및 북미·동아프리카 등 신규 LNG 개발 확대로 해외 천연가스 인프라 시장은 급성장할 전망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인수기지 설비는 연간 총 기화용량 기준으로 아시아, 유럽 및 중동 지역에서 향후 10년간 1억5000만톤 증가가 예상된다.

배관망은 아시아(수요 증가) 및 북미(LNG 개발 확대)를 중심으로 2025년까지 약 5만5258km가 신설될 예정으로 이미 172개 신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해외 인프라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기본설계, 상세설계·자재조달·건설, O&M, 투자비 및 LNG 조달 역량이 필수과제로 꼽힌다.

특히 전방가치사슬인 기본설계는 전체 사업금액의 약 15% 수준이나 후방가치사슬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쳐 전체 사업의 가격·품질을 결정한다.

산업부는 국내 기업 역량 분석 결과 가스공사의 경우 기본설계·기술용역 분야, 민간기업은 건설(시공)·기자재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천연가스 수요가 확대되고 공급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 중심으로 인프라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다만 국가위험도가 높은 지역의 신규 사업 참여는 지양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