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탑뿐 아니라 철골구조물에도 확대 적용 가능

▲ 송전철탑 수명관리 기술 개요.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 한전 전력연구원은 송전철탑의 열화와 도금 및 도장 상태 등을 분석해 송전철탑의 잔존 수명을 예측하고 최적 유지보수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송전철탑 수명관리 기술'을 개발했다.

우리나라 전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철탑은 소금기, 매연, 비와 눈 등 다양한 외부환경에 노출돼 부식 등으로 인해 태풍, 지진 등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30년 이상 사용된 철탑은 약 28%며 2030년에는 5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한전은 철탑의 아연도금은 물론 설치 후 주기적인 페인트 도장을 통해 부식 예방에 노력하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한 철탑이 증가함에 따라 열화 상태를 평가하고 적기에 유지보수 할 수 있는 차세대 예방 정비 및 유지보수 기술이 필요해졌다.

전력연구원이 개발한 '송전철탑 수명관리 기술'은 송전철탑의 재질과 외부 환경, 유지보수 이력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철탑의 열화 상태와 잔존 수명을 예측하고 도장방법과 시기 등 최적의 유지보수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기술이다.

한전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통해 상태기반의 송전철탑 유지보수 체계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했으며 송전철탑의 건설부터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분석과 이를 통한 송전철탑의 자산관리 체계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또한 태풍 등 자연재해에 따른 단전과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전력연구원은 송전철탑의 안전성 확보와 유지관리 비용 절감은 물론 건물, 교량 등 많이 사용되는 철골구조물에 확대 적용함으로써 국민 생활 안전과 건설 등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