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박병인 기자] 한동안 잠잠한 듯 했던 대형 안전사고가 지난 1일 발생했다. 남양주 지하철 공사장서 LP가스로 인한 폭발사고가 발생, 십수명의 사상자를 낸 것.

이 사고는 관리자, 작업자들의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안전규정상 작업이 끝나면 LP가스, 산소 등 폭발위험성이 있는 용기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겨야 하는데 남양주 사고현장에서는 단 한가지도 지키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하작업장 내부에 가스경보기 등 감지기를 설치했다면 이러한 사고는 사전예방이 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제반 안전사항을 관리하고 책임져야할 안전관리자들도 대부분 현장에 없었거나 편법으로 대리인을 세워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 ‘부실한 안전관리’가 경찰 수사결과 밝혀졌다.

남양주 지하철 시공사이자 이번사고의 책임자인 포스코 건설 측은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며 안전관리강화 등 마땅한 후속조치를 취해야하지만, 책임회피에 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책임의 화살이 본인들에게 향할 것을 두려워한 포스코 건설이 사고발생이후 안전관련 문건을 소급 조작한 사실이 경찰수사결과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사고가 발생하면 그 책임을 회피, 전가하는 것에만 온 신경을 쓴다.

유족보상, 피해복구 등 사후처리를 비롯해 안전관리의 강화를 통해 향후 똑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책을 세우는 것에 온힘을 다해야 하지만 사고 피의자들은 책임회피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이번 남양주 폭발사고도 마찬가지다. 이번 사고로 피해받은 유족들, 피해현장 복구, 사고재발방지 노력 등 기본대책들은 논의되지 않고 있고, 가해자인 포스코건설은 책임회피에만 몰두하고 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사고가 챗바퀴처럼 반복되는 이유다.

우리나라는 지난 몇 해동안 큰 사고를 수차례 겪으며 안전규정을 준수할 것을 수차례 다짐해왔다. 하지만 정작 사고 때마다 안전규정 강화에 대한 논의, 향후 관리방안 등은 뒷전이고 오로지 책임소재에만 열을 올리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관계당국과 포스코건설은 잘못된 부분을 시인하고 향후 안전관리강화 방안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