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조은영 기자] 지난 11일부터 전기차 공공 급속충전요금이 전면 유료화 됐다.

이번 유료화 정책은 정부가 국가 재정부담 완화와 민간충전사업자를 육성하겠다는 취지를 통해 전국 337곳에서 kWh 당 313.1원의 충전요금을 소비자들에게 부과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의견이 분분하다. 아직은 전기차 시장이 활성화 되지 않았으며 급속충전시설 유료화 정책으로 수요가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예측으로 전기차 제조업계는 불만이 크다.

국내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급속충전 유료화로 인해 1회 충전시 최대 180km를 달리는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의 경우 약 8700원을 부담해야 하며 ‘르노삼성차’도 약 6800원의 요금을 부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들도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소비자들은 그동안 급속충전기가 무료였던 점을 감안해 충전회수나 30분에 상당하는 충전시간을 감내해 왔다. 하지만 가격상승으로 인해 이들이 큰 불편함으로 다가왔다.
그동안 전기차의 가장 큰 장점으로 평가됐던 저렴한 충전비용이 유료화 되면서 고성능 디젤차와의 차이가 크게 줄었다. 결국 가격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졌다는 얘기다.

소비자들은 정부의 재정부담 완화로 인해 전기차 보조금도 떨어지고 있어 굳이 전기차를 선택해야하는지 의심스럽다는 입장까지 내놓고 있다.

전기차 제조업계와 유료화 정책이 시기상조라는데 의견이 같이하고 있는 상황.

전기차의 인프라가 제대로 구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료화 조건을 내건 것은 결국 전기차 시장의 맥을 끊어놓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의 민간충전사업자 육성을 위한다는 계획으로 인해 충전사업자들은 매우 분주해졌다.

충전사업자들은 유료화 정책과 맞물려 여러 가지 아이템을 내놓으면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계획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20만대의 전기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지난해까지 누적판매대수는 5700여대정도다. 앞으로 5년안에 14만여대를 보급해야 한다.

갈길이 매우 멀다. 정부는 유료화 정책과 함께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전기차 제조업체, 충전사업자, 소비자 모두를 아우르는 배려있는 정책을 발굴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