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얼마전 만난 도시가스사 직원에 가스냉방업계 분위기를 묻자 ‘비오는날의 세차장’이라는 표현으로 대신했다. 팔리지도 않는 물건을 가지고 현장에 나가야 하는 영업맨(?)들의 고역이 느껴지는 한마디였다.

가스냉방은 2차 에너지인 전기보다 높은 요금, 설치비, 유지보수가 까다롭다는 인식 때문에 정부 지원 없이는 시장에서 자생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전력수급에 애를 먹던 2~3년 전만 하더라도 가스냉방에 대한 필요성이 급부상, 정책 지원이 급물살을 탔으나 이전과 변화된 점은 거의 없는 듯 하다.

전기요금과의 격차는 그대로이고 보조금은 50억원에서 60억원으로 확대됐으나 설치의무화 제도 등으로 급속히 늘어난 수요를 생각해본다면 오히려 더 부족해진 상황이 됐다. 추경예산이 80억원 수준인 걸 감안해보면 적정 보조금은 최소 100억원은 돼야 한다는게 업계 의견이다.

매년 추경으로 예산이 잡히다보니 제 시기에 지급되지도 않는 보조금에 대한 설명과 해명까지 줄줄이 덧붙여야 된다.

우리나라의 총 냉방부하 중 전기냉방은 90%, 가스냉방은 이제 9.3%에 불과하다. 가스냉방은 1차 에너지인 가스를 바로 냉방에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일반 전기냉방기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가스냉방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전체 냉방부하의 238만~281만㎾ 규모 최대전력수요를 억제했는데 이는 원전 3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정부가 가스냉방 지원 정책을 펼치는 이유는 하절기 전력피크와 동고하저의 가스수요패턴 해결 등 국가차원의 에너지수요관리를 위해서이다.

업계에서 우려하는 것은 전력수요의 안정세와 가스냉방에 대한 외면이 맞물리는 분위기가 감지되는 것이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태, 셰일에너지와 유가급락 등 하루 앞날을 예측하기 힘든 것이 에너지시장이다.

보조금의 대폭적인 확대가 당장 힘들다면 전기냉방과의 실내 온도 차등제한이나 공조요금제 강화 등 현실성 있고 체감도 높은 지원책부터라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