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김신 기자] 택시업계를 놓고 에너지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LPG업계가 사실상 독점해오던 택시 연료 시장에 내년 9월부터 디젤택시 도입이 허용되고 CNG택시도 확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택시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어떤 연료를 사용할 것인가가 결정되기 때문에 택시 연료 시장을 독점해온 LPG업계는 울상이고 디젤이나 CNG 공급업계는 새로운 수요 창출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정부가 택시 연료 시장에서 디젤을 허용하고 CNG 보급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연비가 높은 디젤의 경제성, CNG의 저렴한 연료 가격 등의 장점을 택시 사업자들이 누릴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히겠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택시연료를 다양화시키게 되면 그간 시장을 독점해온 LPG의 가격 인하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는 포석도 깔려 있다.

택시사업자에게 연료 선택권을 맡기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인데 이제야 시도되는 것은 택시사업자에 대한 일종의 정책적 배려가 밑바탕에 깔려 있었기 때문이었다.

에너지세제개편 이전, LPG는 경쟁연료에 비해 탁월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었고 정부는 국가유공자, 장애인과 더불어 택시사업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 차원에서 LPG연료 사용을 허용했다.

LPG를 수송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일종의 특권이었던 셈인데 2000년대 초반 이후 정부가 에너지세제개편에 나섰고 그 결과 LPG의 가격경쟁력이 힘을 잃으면서 LPG가 연료 특권으로 인식되던 시절은 끝이 났다.

그렇다면 택시사업자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연료 선택권이 확대돼야 한다.

일반 소비자들은 여전히 LPG 차량을 소유하거나 운행하는데 제약을 받고 있다.
가격 메리트가 사라졌고 타 연료와 철저하게 시장 경쟁에 내몰린 상황에서도 LPG는 여전히 택시, 국가유공자 등으로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다.

연료 제한 정책의 명분이나 실효성이 떨어졌다면 시장 논리에 맡기는 것이 맞다.

LPG가 독점하던 택시 연료 시장에 다양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처럼 LPG 역시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공정한 게임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