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비슷, 석유公 인수 압박 높아질 듯


-비축유 위탁관리도 요구, 현장실사벌여-

석유수입사들이 유휴저장시설을 정부의 석유비축 용도로 인수해줄 것을 여러 경로를 통해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석유공사가 경기도 평택과 서산에 중소 규모 석유제품 비축기지 건설을 추진중이어 주목을 끌고 있다.

석유공사는 오는 2007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경기도 평택에 약 1백80만배럴 규모의 지상 저장탱크 건설을 추진중으로 현재 설계단계에 있다.

또 충남 서산에도 총 3백60만배럴 규모의 저장시설 건설을 추진중인 상태다.

반면 석유수입업을 포기한 몇몇 석유탱크터미널 운영회사들은 석유수입사업의 수익성 악화로 수백만배럴 규모의 저장시설이 유휴화되고 있어 골치를 썩고 있다.

실제로 경기도 평택의 한 탱크터미널은 10월 중순 이후 충유율이 0% 상태를 유지중이고 또다른 회사는 30%수준에 가까스로 턱걸이한 상태다.

이에 대해 이들 회사들은 석유수입업의 경영환경 악화가 관세차등화 등 정부의 일관성없는 정책에 기인한다며 유휴 저장시설을 정부가 비축용도로 인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석유공사가 경기도 평택에 건설을 추진중인 석유제품저장기지의 규모가 이미 건설이 완료된 민간 석유탱크터미널회사들의 저장규모와 비슷하다며 국가적인 비용절감을 위해서라도 정부측의 인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비용절감효과 두고 이견-

코엔펙의 한 관계자는 『평택에 위치한 민간석유저장시설의 용량이 총 1백35만배럴 규모에 달하고 약 5천평의 여유부지에 최소 60~70만 배럴 규모의 추가 기지 건설이 가능해 석유공사가 추진중인 평택기지의 규모를 충분히 충족시켜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국제적인 원자재 파동으로 철판값이 크게 상승한 상태에서 석유공사가 민간사들의 유휴저장시설을 인수할 경우 건설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석유공사는 단순한 건설비용 절감만으로 국가석유비축계획의 효율성을 판단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안전성과 경제성, 효율성 등을 고루 감안해야 하는데 민간사들의 저장시설은 소규모로 분산되어 있어 정부의 석유비축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많다는 설명이다.

특히 경기도 평택의 경우 이미 석유공사의 자체 부두가 조성되어 있고 LPG기지도 운영중이어 부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도 자체적인 석유기지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비축유 위탁관리도 요구-

석유공사 강남의 비축관리팀장은 『석유수입사들의 저장시설 규모가 석유공사의 평택 저장기지의 총 용량을 충족시킬 수는 있지만 탱크 1기당 용량이 너무 작아 비축유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관리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석유공사의 비축탱크 1기의 규모는 최소 11만5천배럴이고 일반적으로 30만배럴 규모를 유지하는데 비해 이들 석유수입사들의 최소 2만배럴에서 최대 8만배럴정도 수준이다.

이에 대해 민간탱크터미널 회사들은 『소수 유종을 대량 비축해야 하는 석유공사와 다양한 유종을 처리해야 하는 민간사의 입장이 달라 저장탱크의 용량에 차이가 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름을 담는 용기가 작다고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데는 동의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석유공사가 동해에 위치한 1백10만배럴 규모의 석유제품저장기지를 아웃소싱 형태로 운영중이라는 전례를 내세워 정부의 비축유를 이들 민간사의 탱크터미널에서 위탁 관리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석유공사측은 재고관리나 유지보수, 위험물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테러 등에 대비한 안보 등 다양한 부분에서 전문적인 기법이 필수적인데 정부의 비축석유를 수익지향적인 민간사에 위탁관리시키는 것은 불안한 요소가 많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석유공사는 24일 이후 3일간의 일정으로 민간 탱크터미널의 운영실태 등에 대한 현장실사를 진행해 그 결과에 따라 민간탱크터미널의 정부매입 여부가 최종 결론내려지게 됐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