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이수헌 기자] 과거 연탄을 주로 사용하던 시절의 프로판 가스는 안전하고 편리한 신식 연료였다.

하지만 도시가스 보급에 밀려 LPG의 입지는 좁아졌고, 소비자들은 타 연료 대비 편리하지 않은 LPG가 이제는 가격의 매력조차 없다며 외면하기 시작했다.

일차적으로는 지속 상승하는 수입가격이 가격 경쟁력 악화의 주범이지만 가격 결정권을 쥐고 있는 것은 아쉽게도 한국이 아니라 중동국가다.

그런데 이렇게 가격이 오른 LPG를 소비자들은 더더욱 비싸게 구입해야한다. 복잡한 유통구조 때문이다.
도시가스는 배관을 통해 가정 내로 공급되고 소비자는 가스를 사용한 뒤 사용량에 따른 비용만 지불하면 된다.

하지만 LPG는 수입사에서 충전소로 공급되고 다시 판매·배달업소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소비자는 고작 20kg 남짓한 프로판을 구입하기 위해 가스가 떨어질 때마다 판매업소에 주문을 해야 한다.

소비자들은 배달이 오는 사이에 가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야 했고, 배달에 필요한 차량·인력으로 인한 비용 상승은 고스란히 소비자의 몫이었다.

게다가 용기와 연결된 고무 배관은 햇빛이나 날카로운 도구에 의해 쉽게 손상되기도 해 보험사기 등 고의사고에 노출돼 왔다.

전국 모든 지역에 도시가스 배관을 연결하면 당장 해결될 수 있지만 현실성이 없다고 판단한 정부는 올해부터 농어촌 배관망 보급사업을 시작했다. 

이번 사업에 대한 지자체와 농어촌 주민들의 관심은 폭발적이었다. 전국 평균 8:1 이상의 경쟁률을 보였고 전남 등 일부 지역은 지역주민들의 요구가 많아 아예 정부 예산이 아닌 지자체 예산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강원도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최문순 도지사가 마을단위 LPG배관망 사업을 선거공약으로 내세우고 내년까지 5개 지역에 배관망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웠다.

소형저장탱크 및 배관망 보급은 국회와 정부의 입장에서는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사업이며 지역 간 균형발전이라는 좋은 명분이 있다.

LPG업계와 보일러업계에서는 화목보일러나 등유로 난방을 하던 작은 시골마을에도 가스를 공급할 수 있어 신규 수요처가 생겼으며, 소비자는 편하고 안전한데 저렴하기까지 한 연료를 취사 및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투명한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제는 집집마다 계량기가 설치돼 내부가 보이지 않는 프로판 용기의 가스 충전량을 놓고 판매자와 소비자가 다툴 필요도 없다.

최근 LPG소형저장탱크 보급 확대를 위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에서는 야당의원들을 중심으로 소형저장탱크 보급을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며 액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며, 다소 지나치다고 지적돼 왔던 안전관리 규제는 이격거리 규제를 일부 폐지하는 등 점차 완화돼 가고 있다.

판매업계에서는 소형저장탱크의 잔량측정과 원격검침이 가능한 플랫폼을 내놓고 시범사업 중이다.

LPG소형저장탱크 배관망 보급사업은 소외지역 주민들의 에너지복지 등 여러 가지 의미에서 꼭 필요한 사업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명분에 실익까지 갖춘 이번 사업이 지금처럼 각계의 노력과 관심을 보태 탱크처럼 단단하고 굳건하게 추진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