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이타임즈 김신 기자] 경주 마리나 리조트 체육관 붕괴, 세월호 침몰 등 올해 들어 발생한 대형 안전 사고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사회 안전 후진국이라는 불명예를 감수해야 할 정도로 대형 안전 사고들이 연달아 터지고 있다.

때 마침 정부가 지정한 가스안전촉진주간이 다가 왔고 안전 유공자들을 선정해 포상하는 행사가 열렸다.
LNG, LPG, 특수 고압 가스 등은 폭발력이 높아 사고 발생시 대형 재난이 될 수 있는 여지가 상존하고 있다.

지난 1994년 12월에 발생한 서울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사고는 사망자 12명, 부상자 101명 등의 인명피해를 불러왔고 건물 145동, 차량손실 92대 등의 물적 피해, 이재민 210세대 555명 등 엄청난 피해를 가져왔다.
1998년 9월에 발생한 경기도 부천의 LPG 충전소 폭발 사고로 1명이 숨지고 9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 익산 충전소 가스 폭발 사고 등도 대형 참사로 기억되고 있다.

산업과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인 가스는 그 한편에서 안전관리에 소홀하면 ‘괴물’로 변하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그 만큼 안전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셈으로 정부는 가스안전공사라는 공공조직을 만들어 전문적인 안전 관리 역할을 부여하고 있고 우수 유공자들을 포상하고 격려하는 이벤트를 매년 열고 있다.

그런 노력 때문인지 가스 관련 안전사고는 크게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발생한 가스사고는 총 121건에 그쳐 1995년 기준 577건이 발생한 것과 비교할 때 1/5 수준으로 줄어 들었다.
특히 그 과정에서 가스 소비량이 4배 가까이 늘어난 점을 감안할 때 가스 안전 관리 분야는 이미 선진국 수준에 근접했다고 평가해도 지나치지 않다.

또한 상당 기간 동안 가스와 관련한 대형 사고도 발생하지 않고 있다.

사회적으로 각종 안전 사고에 노이로제에 걸려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폭발력을 가지고 있는 가스를 순한 양으로 길들이는 안전망을 구축하고 관리해온 정부 정책과 시스템은 충분히 칭찬받을 만 하다.
이번 세월호 사태를 계기로 정부는 국가안전처를 신설하고 가스안전 관리 기능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가안전처가 각 정부기관들의 흩어진 안전 기능들을 하나로 묶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선제적인 대응을 하기 위한 중앙컨트롤 조직인 만큼 가스안전공사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에서 이관되는 것도 충분한 타당성이 있다.

다만 국가안전처 아래로 헤쳐 모이는 다른 안전 조직과 흡수 통합되는 것 보다는 독립적이고 전문성을 갖춘 가스안전공사의 원형은 그대로 보전하면서 타 안전 관련 기관과 유기적인 협조채널을 구축해 가스안전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살리는 방식이 필요하다.

가스안전이 에너지사용과정에서 수반되는 것인 만큼 에너지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에특회계 등을 통한 가스안전 관련 자금 지원을 멈춰서는 안된다.

가스안전이라는 공적 영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효율성과 더불어 전문성은 반드시 보장받아야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라는 점이 간과되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