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지구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인 것은 물론이고 화석 연료 고갈 등에 대처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방안이 자연에너지를 사용하고 폐자원 등을 재활용하는 것이라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런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가 발목을 잡히고 있다.

이달 중순 서울에서 열린 ‘클린에너지 장관회의(Clean Energy Ministerial, 이하 CEM)’에서는 의미있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전 세계 청정에너지 신규 투자가 감소하고 있다는 통계가 그것이다. 2011년에 318억불이던 것이 2012년에 286억불, 지난해는 254억불에 머무르면 감소세도 뚜렷하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가 위축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 때문이다.
화석연료에 비해 생산단가 등이 높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이고 경제적인 각종 지원이 수반돼야 하는데 바로 이 대목이 주요국 정부나 관련 산업에 부담이 되고 있고 투자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재앙을 예고하고 있다.
오는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증가폭이 6℃를 넘으면 전 세계가 재앙으로 내몰린다고 경고하고 있다.
4℃ 온도 증가 시나리오는 온실가스배출 저감과 에너지효율 증대를 위한 각국의 노력이 반영된 시나리오라고 평가하고 있고 온도 증가 폭이 2℃ 이내가 될 경우에 온실가스배출 감소와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이 달성된 시나리오로 IEA는 해석하고 있다.

결국 지구가 지속가능하게 살아 남기 위해서는 온도 증가폭이 2℃ 이내로 제한돼야 하는데 IEA가 평가한 청정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재생에너지 발전분야가 유일하다.
가스발전이나 산업, 수송 등의 분야에 대한 기술 동향 등은 여전히 노력이 필요하고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바이오연료 등의 분야는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제안했는데 결국은 ‘돈’에 대한 문제들이 대부분이다.
바이오연료 분야 기술개발 등을 촉진하기 위한 제안에는 기술향상과 비용절감을 위해 바이오연료 프로젝트 투자위험 감소에 필요한 재정지원 방안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가스발전 확대 수단으로는 석탄에서 가스로의 전환을 가속화 하기 위해 탄소가격 도입 및 기타 규제들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수송분야의 청정에너지 사용 확대 수단으로는 연료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관련 비용의 내재화를 위해 배출권 거래제 같은 규제수단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주요 선진국에서 이미 도입중인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이지만 비용 부담을 우려한 산업계 등의 반발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탄소가격 도입이나 정부의 각종 재정 지원은 에너지 가격 상승이나 정부 재정 악화 등의 이유로 큰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고 IEA는 평가하고 있다.

전 세계인들은 지구 재앙을 예측할 수 있을 만큼 문명이 발달된 환경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예측된 재앙을 막지 못한다면 그만큼 우매한 일도 없다.
IEA가 경고한 지구재앙 시나리오가 과장된 것이든 그렇지 않든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병들어 가는 지구 모습을 지금 이 순간에도 모든 세계가 확인하고 있다.

그렇다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청정에너지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투입되는 ‘돈’을 아까워해서는 안된다.

IEA는 청정에너지 기술개발과 정책 수준 등에 대한 각 부문별 평가를 우수, 노력 필요, 미흡으로 나눴는데 모두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지 못하면 그만큼 ‘지구 재앙’에 가까워 질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