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폐자원을 에너지화하는 사업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생활쓰레기가 고형연료(SRF)로 재탄생하는가 하면 가축분뇨나 음식물쓰레기가 바이오가스로 재활용되고 있다.

폐유지가 바이오디젤로 생산돼 자동차용 경유에 혼합돼 보급된지는 벌써 오래전 일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폐자원의 에너지화 사업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친환경에너지 타운 시범사업을 하겠다고 밝혔는데 환경과 에너지 수급을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폐자원을 에너지화 하는 사업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폐자원이 에너지 자원으로 재탄생하게 되면 버려지는 폐기물로 인한 환경 오염과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에너지로 재탄생하면서 그만큼의 에너지 생산과 소비도 절감시키게 된다.
폐자원 에너지 산업 육성으로 기업과 일자리 창출 효과도 거둘 수 있다.

국가가 목표로 삼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도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일석삼조 이상의 기대효과가 가능한 사업인 셈이다.

다만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 대부분이 아직은 시장경제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정책적 뒷받침이 선행돼야 진행 속도를 앞당길 수 있다.

바이오가스 등 폐자원 활용 에너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와 관련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실적으로 인정하거나 추가적인 가중치를 두는 등의 방식이 대표적 유인책이 될 수 있다.

폐자원을 유기적, 효율적으로 수거, 관리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대표적인 바이오에너지인 바이오디젤은 폐식용유는 물론 삼겹살 기름 등 동물성 폐유지로도 생산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들 폐유지를 제대로 수거할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다면 재활용에너지를 버리는 꼴이 될 수 밖에 없다.

바이오디젤 시범보급 사업 당시 정부가 각종 유류세를 면세해주며 가격경쟁력을 확보해준 바 있는데 필요하다면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에너지에 대해 각종 세제 지원도 투입해야 한다.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에너지화 사업은 국가 환경 보호와 에너지 비용 절감에 더해 전략적 수출산업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수거하고 이를 에너지로 재탄생시키는 기술 개발, 시장 형성 등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