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호를 위한 주유기단계 유증기 회수장치(StageⅡ)확대가 추진되는 가운데 주유소 사업자들의 불만이 거세다.

이미 StageⅡ를 설치한 사업자들이 가장 많이 지적하는 것은 장비의 잦은 고장과 과도한 유지보수비용 발생이다.

한 주유소 사업자는 “수입 유증기 회수설비는 가격이 비싸 주유소 사업자들이 제품을 선뜻 구입하기 쉽지 않다”면서 “그래서 무리하게 장비를 국산화했지만 국산품은 기술력이 딸려서 고장이 잦은 편”이라면서 불편함을 호소했다.

유증기 회수설비는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여기서 문제가 생기면 재검사를 하러 나올 때까지 사용할 수가 없다.

이 사업자는 “이런 상황에서 국산품은 불량이 많다보니 검사 시 문제발생이 잦다”면서 “정기검사 전에 일부러 비용을 들여 먼저 검사를 받는 주유소들이 상당히 많다”고 설명했다.
아직 유증기 회수설비를 설치하지 않은 사업자들은 과도한 설치비용을 문제 삼는다.

정부는 총 설치비용을 1750만원으로 책정했지만 주유소 사업자들이 생각하는 실제 비용은 3000만원 이상이다.
주유소가 가뜩이나 포화상태에 달한 데다 영업 이익률이 0.43%에 불과한 상황에서 3000만원 이상의 과도한 설치비용은 결국 기름값 인상으로 이어진다며 정부의 장비 설치 보조금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StageⅡ를 시행할 지역을 구분하는 방식인 인구 50만 이상의 기준을 놓고도 잡음이 많다.
세 개의 시가 합쳐져 인구 50만이 넘게 된 창원시의 경우 환경오염 우려가 적은 시골에 위치한 주유소들도 많은데, 창원 지역에 속해있단 이유만으로 StageⅡ를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겠냐는 의견이 많다.
미국 뉴욕시도 StageⅡ를 시행하지만 교외 주유소에는 융통성 있게 예외조항을 두고 있는 만큼 조금 더 융통성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미대상지역 저유소에 유증기 회수설비가 미설치된 곳이 많다는 점도 이 정책의 빈약성을 말해준다.
대도시 주유소에 공급하는 저유시설은 주로 대도시 인근 유증기 회수장치 미대상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은데, 기껏 회수한 유증기가 저유소 단계의 회수설비를 통하지 않고 대기 중에 배출되거나 소각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StageⅡ가 환경보호를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인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이를 제대로 실행하려면 앞서 지적한 문제점들에 대한 대책을 조금 더 탄탄히 세우고, 보다 많은 업계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