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가스냉방 장려금 증액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50억원 규모인 장려금을 60억원으로 늘리겠다는 것인데 환영할 만한 일이다.
지난 여름 최악의 전력수급난을 경험한터라 가스냉방 등 분산전원의 필요성을 정부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 자료에 따르면 총 전력설비의 30% 정도가 분산 전원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중 가스냉난방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동하절기 전력수급난을 야기하는 원인중 하나가 전기에 의한 냉난방인 점을 감안할 때 가스냉난방에 의한 수요 분산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
기저발전인 원전 가동 중단 등에 더해 최근의 밀양 송전탑 사태처럼 중앙전원에만 의지하고 이를 확대하는데는 갈수록 한계가 뚜렷해 지고 있다.

최근 가스공사가 서강대에 의뢰한 가스냉난방의 전력대체효과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가스냉방 설치 시 RT(냉동 톤)당 0.76kW의 전력대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간 설치된 가스냉방 용량을 전력대체효과로 계산하면 238만~281만kW로 전체 냉방부하의 14~17%에 달하며 500MW LNG발전소 최대 6기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전력피크를 낮추기 위해 정부가 전력수요관리자금에 수천억원을 사용했다.
만약 가스냉난방을 평소에 더 적극적으로 장려했더라면 천문학적인 전력수요자금을 전력피크를 낮추는데 낭비하는 사태는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었을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올해 가스냉방 장려금은 이미 소진된 상태이고 지난 9월말 기준 가스냉방 장려금 미지급금은 52억원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가스냉방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많다는 뜻이다.
하지만 내년 장려금 예산이 60억원으로 증액되더라도 올해 미지급금을 대체하면 남는 자금은 없다.
이런 측면에서 가스냉난방 지원금은 더 많이 늘려도 무방하다.
전력수급난에 대응해 가래로 막을 것을 호미로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