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사장 선임을 논의하는 주총이 두차례나 연기됐다.
철저한 인사 검증을 위해서라는 것이 대주주인 정부측의 설명이다.
 
신 정부 출범 이후 금융권과 공공기관장 교체 작업에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관치(官治) 인사’를 지적하면서 이들 조직의 사령관 선임 작업이 중단된 상태다.
대통령의 의중에 맞춰 기획재정부도 공공기관장 자격요건을 강화하는 인사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고 부산스런 모습이다.
 
정권 교체때마다 반복되어 왔던 관치 인사가 근절될 수 있다면 또 그래서 도덕성과 능력을 겸비한 유능한 경영자를 초빙할 수 있다면 공기업 사장 선임이 몇차례 연기되는 것을 탓할 수는 없다.
 
하지만 구태가 반복되며 요란한 빈수레로 전락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잘 알려진 것처럼 가스공사 사장은 임기가 만료되지 않았지만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지역난방공사, 석유관리원 기관장들도 역시 임기를 남겨 놓고 새 정부와 코드가 맞는 인사에 바통을 넘겨 주기 위해 떠났다.
정권이 바뀔 때 마다 반복됐던 코드 인사가 현 정부에서도 반복되는 모양새이다.
 
하지만 낙하산 식 인사는 지양한다는 것이 현 정부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니 이 대목이라도 과거 정권과 차별화가 되기를 기대해봐야겠지만 벌써부터 부정적인 여론이 만만치 않다.
이례적으로 사장 선임을 논의하기 위한 주총이 두차례나 연기되고 있는 가스공사의 노조측은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한 고위 관료 출신을 사장에 앉히기 위한 정부의 술수라고 비난하고 있다.
 
만약 이같은 주장이 사실이라면 관치 인사의 문제점을 지적했던 대통령과 낙하산 인사 시스템의 종말을 기대하는 국민 모두를 행정부가 속이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자산 규모 40조원에 국가 천연가스 도입, 도매 사업을 책임지고 있고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적극 나서야 하는 에너지 공기업인 가스공사 최고 의사 결정권자의 공백이 길어지는데는 그만한 뚜렷한 명분과 이유가 있어야 한다.
 
다른 공공기관장 역시 마찬가지다.
정부 입맛에 맞는 인사를 사령탑에 앉히기 위해 주총을 연기하고 까다로운 인사 검증 절차를 밟는 것처럼 쇼를 하는 것이라면 이번 정부의 인사 시스템 역시 실패한 과거 전철을 밟을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