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신 편집국장
수출이라고 꼭 유형화된 상품만을 팔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성공한 행정기법을 수출할 수 도 있고 선진 제도를 내다 팔 수도 있다.

선진 행정이나 제도 수출은 관련 기술이나 인프라, 서비스 등과 묶어 패키지 수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 큰 부가가치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환경부 주도로 역내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이 한창 진행중인 천연가스 차량 관련 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6%에 달하는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에너지 자원빈국이다.

천연가스는 동해가스전에서 생산되는 것 이외의 모든 물량을 수입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가스 수입으로 지불하는 금액만 338억 달러에 달한다.

이런 우리나라가 천연가스를 수송연료로 사용하는 산업에서 선진 경험을 축적하고 관련 제도를 비롯해 충전과 차량 개조 등의 사업을 묶어 천연가스 생산국 등에 수출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 30일 환경부는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인도네시아, 베트남, 체코, 우즈베키스탄, 도미니카공화국, 러시아 타타스르탄공화국 정부 관계자들을 초청해 ‘글로벌 NGV 파트너십 2013’ 행사를 열었다.

천연가스 절대 수입국인 우리나라에 세계 여러 나라 에너지 공무원들이 모인 이유는 천연가스차량 보급 사업을 벌여온 우리나라의 선진 경험을 공유하고 벤치마킹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이날 환경부는 대표적 천연가스 차량인 CNG버스 보급, 충전소 지원 등의 추진 과정과 환경 편익 등을 소개해 해외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환경부 주도로 거둔 그간의 천연가스 관련 수출 성과도 눈부시다.

환경부는 2009년에 동남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천연가스버스 보급 인프라 등을 7000만 달러 수출한 이후 2010년 이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로 시장을 확대하면서 지난해는 2억불 규모로 수출액이 확대된 상태다.

특히 우즈베키스탄과는 양국 가스공사를 중심으로 천연가스 충전소와 용기 공장을 설립하는 CNG 협력사업이 진행 중이며 현지 충전소 중 55% 이상이 한국산 압축설비가 점유하고 있다.

2014년까지 25만대의 대중교통수단을 천연가스차량으로 개조하는 2200만 달러 규모의 국책사업을 추진중인 인도네시아에도 한국 기업들이 참여 중이다.

‘환경은 곧 규제’로만 인식되던 선입견을 환경부 스스로가 깨면서 국내 선진 환경 관련 정책과 기술, 인프라 수출에 앞장서고 있고 그 결과로 관련 기업들이 외화벌이에 나설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으니 이제는 선진 환경 정책이 수출 유망 상품으로 각광받는 것도 기대할 만 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