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은 기자
최근 한국주유소협회가 주유소 공제조합 사업을 야심차게 추진 중이다.

아직은 큰 그림을 그리는 구상 단계이기는 하지만 협회는 공제조합을 통해 융자사업, 경영합리화 지원사업, 혼유·화재 등 사고시 배상공제사업 등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유소협회는 공제사업이 본격화되면 갈수록 열악해지는 주유소업계의 고질적 문제점들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유소업계의 열악한 상황은 통계 수치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사 결과 지난해 평균 휴업 주유소 수는 420곳이었는데 이는 영업을 해도 수익이 나지 않으니 차라리 쉬고 다른 방도를 찾아보겠다 하는 주유소들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사업 경쟁력을 잃고 한계주유소가 돼버린 곳들도 최소 1억4000만원이 드는 철거비용 때문에 임대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명맥 유지도 안 되니 아예 폐업을 해버린 주유소가 지난 한해 261곳에 달하며 지난 1,2 월에 폐업한 주유소도 각각 98곳, 103곳이나 된다.

협회는 이런 상황의 돌파구 겸 주유소 사업자의 지위 향상을 위해 별도의 공제조합 설립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주유소 관련 각종 사고가 생길 때 발생하는 사업자의 금전적 부담을 덜고 주유소 직원의 근무환경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이 협회의 입장이다.

국회 이현재 의원도 정부가 폐업주유소에 대해 보조금 등을 지원하도록 하는 석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고 각종 언론들도 주유소 휴·폐업 상황을 빈번하게 다룰 정도로 주유소 업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는 사람들은 많다.

문제는 아무리 좋은 해결책이라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협조를 얻어내야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달 중순 수원에서 열린 공제조합 설명회에서도 일부 주유소 회원사들은 공제조합 설립 취지에는 동의하지만 공제조합원 확보를 위한 의무가입 여부와 공제조합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협회가 사업구상을 한 후 열린 첫 번째 설명회였기 때문에 회원사들은 당연히 공제조합에 대한 궁금증과 우려를 나타낼 수 있는 상황이었다.

중요한 것은 이제부터 협회가 최대한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주유소 업계의 다수가 만족하는 쪽으로 사업을 구체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유소 사업자들은 공제조합 출범과 관련한 맹목적인 비난보다는 조언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