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에너지기구(IEA)가 말한 천연가스 황금기가 앞으로 4~5년 후면 현실화 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즉,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촉발된 세계 천연가스 공급 증가로 수요자중심시장이 형성되고,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폭발적 LNG 수요 증가로 천연가스 공급이 동북아로 모일 거라는 것이다.

이러한 미래 상황을 발판 삼아 국내 천연가스 관련 기업들은 한 단계 도약을 꿈꾸고 있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한 현실상의 준비는 매우 미흡해 보인다.

지난 정권때부터 이어져 온 천연가스시장의 개방 문제가 현 정권에 와서도 풀리지 않고 갈등 요인이 되고 있다.

지난 1일 SK E&S가 침묵을 깨고 LNG 직도입에 관한 직접적인 설명자료를 내놨다. 인도네시아 탕구 LNG프로젝트에서 저가의 LNG를 들여와 이를 발전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기요금 인하에 기여했다는 내용이다.

다음날 가스공사 노조는 SK E&S의 주장에 발끈했다.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한다.

노조의 반박 주장은 "표면적으로는 맞을지 모르나 그 전에 탕구 프로젝트와 저가의 계약을 맺고, 민간기업이 발전시장에 들어온 것 자체가 정부의 특혜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는 것이다.

양측의 주장을 종합해 볼 때 둘 다 일리있는 말이다. 서로도 일정 부분은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다음 단계인 합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오로지 SK E&S를 포함한 민간기업들은 "도입시장을 열어라"만 외치고, 가스공사 노조를 중심으로 한 반대진영은 "공공성 무너진다. 절대 안된다"며 맞서고만 있다. 갈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전혀 없다.

이 양갈래 주장을 정부가 조율하면 좋으련만 정부 역시 계속 손 놓고 있다. 아니 140대 국정과제로 채택했 듯 현재로선 도입시장 개방 내지는 기준 완화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다행히 천연가스 도입문제에 관한 공청회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정부가 갑작스럽게 직도입 완화를 골자로 한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하려다 국회 제동으로 중단되자 공청회를 가진 뒤 추진한다고 약속하면서 예정된 것이다.

천연가스 도입문제에 관한 첫 공론의 장이므로 기대감도 있지만 한편으론 우려감도 크다.

대다수의 정부 공청회가 정책을 계속 추진하기 위한 하나의 요식단계로만 진행돼 왔기 때문이다. 이번 공청회도 그런 요식단계에 지나지 않을까 걱정되는 것이다.

굳이 이 공청회가 아니더라도 천연가스 도입 개방문제에 관한 찬성과 반대진영이 국익적 차원에서 심도있게 논의하는 공론의 장이 계속 마련돼 하루 속히 천연가스 황금기를 누릴 정책이 수립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