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신 편집국장
잘 알려진 것처럼 지난해 발생한 일본의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가동이 중단되면서 LPG가 재해 대응형 에너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관로나 케이블 등을 통해 공급되는 LNG나 전기와 달리 LPG는 벌크 수송이 가능해 전기나 도시가스 공급이 끊어지더라도 적재적소에 공급이 가능하다.

유독 지진 등의 재난 피해가 많은 일본에서 최근 정전 등에 대비해 휴대용 LPG 발전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을 보면 LPG가 분산형 에너지원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재해 안전지대로 낙관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분산형 에너지원으로 LPG의 비중을 정책적으로 적정 수준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정부는 LNG와 LPG간 균형 발전 방안을 연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해 최근 의미있는 시범사업 결과가 발표됐다.

LPG수입업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시설과 주거밀집지역 등 3곳에 LPG소형저장탱크를 시범 설치하고 경제성과 안전성 등을 점검한 것인데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LPG탱크 보급사업은 3톤 미만의 저장탱크를 사용처에 설치하고 벌크로리 차량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더 나아가 도시가스 배관망 처럼 LPG 역시 인근 수요처를 관로로 연결시켜 집단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번 시범사업 결과 기존 용기배달 방식에 비해 소형저장탱크 보급이 이뤄질 경우 공급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유통비용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어 소비자 판매가격을 10% 이상 끌어 내릴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형저장탱크 보급으로 충전횟수와 배관 이음매가 줄어들어 시설 안전성이 5배 정도 개선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정부는 에너지 복지 차원에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소도시 지역 까지 도시가스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경우 도시가스 공급비용이 높아져 인근 지역 수요가의 에너지 구입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LNG 공급 방식과 유사한 관로 공급이 가능하고 유통비용 등을 줄일 수 있으며 도시가스에 비해 공급 인프라 구축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LPG를 활용해 집단 공급 시스템을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을 고민할 이유는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재해 대응형 에너지원이면서 에너지 다원화에 따른 수급 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는 LPG를 안전하고 경제성을 갖춘 효율적 방식으로 보급하는 방식이 민간 차원에서 검토되고 검증된 만큼 이제는 정부가 나서 확대 보급 방안을 제시하고 실천에 옮길 차례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