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승온 기자
보일러업계에서는 그동안 콘덴싱보일러 보급과 관련해 정부 정책의 부재로 아쉬움을 가져온 것이 사실이다.

지난 2009년 20세대 이상의 신규 건축물에 열효율 1등급(콘덴싱보일러) 제품을 의무 설치한다는 내용이 통과됐지만 일반 주택의 신규·교체시장에서는 여전히 판매에 한계를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제도를 통해 우리나라의 콘덴싱보일러 보급 비율을 20% 가까이 끌어올리기도 했으나 보일러사간 특판 출혈경쟁이 더욱 가열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콘덴싱보일러는 일반보일러에 비해 가격이 많게는 40만원 이상 차이난다. 아무리 보일러사들이 ‘수년안에 연료비 절약액으로 구매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고 홍보해 봤자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기에는 역부족인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서울시에는 보일러와 관련한 의미있는 시책을 내놓아 주목을 받았다.

지난달 6일부터 콘덴싱보일러에 대한 융자지원 사업을 펼친데 이어 28일에는 주요 보일러사들을 한자리에 모아 콘덴싱보일러 보급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서울시가 이처럼 콘덴싱과 같은 친환경보일러 보급에 적극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난방비 절약과 더불어 진소산화물,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에 유효한 수단이라는 측면 때문일 것이다.

유럽의 경우 이미 지난 1995년부터 네덜란드를 필두로 독일과 영국 등에서 콘덴싱 기기 설치 법제화를 마련하고 보급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유럽이 이처럼 콘덴싱보일러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가져오고 정책척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이유 역시 대기오염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그만큼 가정용 기기의 에너지 소비를 만만치 않게 여기고 있다는 반증이다.

우리나라에서 콘덴싱보일러가 더욱 확산되기 위해선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을 것이다. 최근 GCF 유치와 배출권거래제 시행을 확정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선진국들에 모범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도 더 늦지 않게 보일러의 고효율화 정책을 과감히 추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