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신 편집국장
사회 안전은 시스템과 제도만으로 구축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또다시 입증되고 있다.

가스안전사고 분야가 그렇다.

가스안전분야 공공기관인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지난 2009년에 ‘가스사고 제로화 원년’를 선포하고 2015년까지 가스 사고를 총량 대비 50% 감축시키겠다는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다양한 가스안전 강화 대책을 추진하면서 상당한 감축 효과를 거두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발생한 가스사고는 2010년 대비 6% 줄어든 126건에 그쳤고 올해 들어 3분기동안의 사고 건수 역시 81건으로 전년 동기의 90건 대비 10% 수준 줄어 들었다.

우리나라의 가스안전기술은 해외 개발도상국가에 수출될 정도로 그 선진성을 인정받고 있다.

베트남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개도국에 가스안전과 관련된 법령이나 제도, 시스템 구축 작업을 지원하면서 가스안전을 외교로 승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가스 사용자들의 의식은 여전히 후진적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가스 시설물에 대한 취급 부주의 사고로 인명 피해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가스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13명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5명 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다행히 가스사고 부상자는 139명에 그쳐 지난해 보다 줄어들었지만 사망자가 늘었다는 대목은 치명적 위해에 노출되는 사례가 더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망 사고의 유형은 대부분 가스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에 기인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동안 발생한 LPG 사고 사망자는 2명에 불과했는데 올해는 6명으로 늘었다.

휴대용 가스난로에 부탄캔을 체결하거나 가스레인지위에 과대 불판을 사용하는 과정 등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들인데 모두 사용자 취급 부주의 때문이다.

도시가스 사고 사망자는 주로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발생하고 있다.

가스보일러 사용과정에서 일산화탄소가 실내로 유입돼 중독되는 사고가 매년 끊이지 않고 있다.

1970~80년대의 연탄 가스 중독 사고와 유사한 후진적 가스 사고가 21세기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올해는 이례적으로 고압가스 사고 사망자도 발생했는데 역시 취급 부주의에 따른 것이다.

가스안전공사는 지난해 ‘액션 플랜 2012’를 발표하면서 가스사고 인명 피해율을 획기적으로 줄이겠다고 선언했는데 제도나 시스템이 아무리 초 선진형으로 갖춰지더라도 사용자가 선진화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정부도 가스안전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계몽에 더 속도를 내야 하겠지만 인명과 재산 피해를 야기하는 대부분의 가스사고는 사용자의 사소한 방심에서 출발하고 있는 만큼 가스 소비자 의식의 선진화가 더욱 절실한 때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