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도해 온 에너지원 다변화 정책에 힘입어 LNG와 LPG가 그간 균형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LNG와 LPG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LNG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LPG는 갈수록 소비가 줄고 있고 LPG 기피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어 정부의 에너지원 다변화 정책이 흔들리지 않을지 걱정된다.

대한석유공사 출범으로 석유에너지에 의존하던 우리나라에 가스에너지가 도입된 것은 1980년대다.

정부는 1970년대 연거푸 일어난 1·2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에너지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석유의존도를 감소하는 내용으로 에너지 수급구조개선정책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매장량이 풍부하고 전 세계에 고루 매장돼 있는 LN

G 도입을 정부차원에서 검토하게 된다.

그러나 LNG 공급 기반시설이 전무한 현실을 감안해 사업추진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LPG의 대량 도입을 과도적인 조치로 동시에 추진했다.

에너지원 다변화 정책에 국력을 집중한 정부는 1983년 8월 18일 정부 주도로 한국가스공사를 설립해 LNG 사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추진하는 한편 1984년에는 여수에너지(현 E1)를, 1985년에는 대한석유공사(현 SK가스)를 LPG 수입사로 허가해 민영화를 추진하는 가스산업체계를 구축했다.

정부가 LNG를 공기업의 영역으로 선택한 것은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는 생산기지를 비롯한 공급시설 건설을 해결하려는 의도 때문이었다.

정부의 의도대로 에너지원 다변화 정책은 출발과 함께 순항했다. 또한 LNG는 발전 및 가정용 에너지로, LPG는 취사 및 수송용 에너지로 역할분담도 자연스럽게 이뤄졌다.

하지만 LPG는 취사 및 수송용 연료라는 한계 때문에 줄곧 감소세를 보이다가 2000년대 중반 이후 가스체 에너지 중 25% 내외의 시장점유율을 보이면서 안정적인 수준을 형성해 왔다.

그러다가 도시가스 공급 확대 정책 등의 영향으로 LNG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2010년에는 20.3

%로 급격히 하락하는 등 LPG 소비량이 줄고 있는 추세다.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LNG 소비량은 전년대비 7.3% 증가한 반면 LPG 소비량은 4.5% 감소해 LNG와 LPG의 불균형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정부의 장기천연가스계획에 따르면 천연가스는 더욱 확대되고 택시업계의 요구대로 CNG가 택시연료로 제도적으로 인정받게 되면 LPG 소비량은 20%대 이하로 추락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에너지 수급 불균형이 초래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에너지 수급안정을 위해 LNG와 LPG의 소비량을 8대2로 유지하려는 정부의 LNG와 LPG 간 적정역할분담 방안이 지켜져야 한다.

그 수단으로는 LPG에 대한 소비자들의 가격불만을 진정시키는 정부의 특단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

LNG와 LPG 간의 세제상의 공평도 이루어져야 하고 LPG에 대해 가능한 인센티브도 개발해야 한다.

LNG와 LPG 간에 벌어지는 불균형 해법은 LPG가격이 LNG가격에 비해 비싸지 않게 하는 정부 정책의 의지에 달려 있다.

불균형이 심화되면 정부가 바라는 에너지원다변화도 깨지고 LPG를 사용하는 서민들의 삶은 더욱 고단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