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혜윤 기자
택시사업자들의 LPG연료 이탈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LPG가격이 급등해 택시를 모는 데 한계를 느낀 법인 및 개인 택시 사업자들은 지난달 28일 합동대책회의를 열어 택시연료 저변 확대 등을 추진키로 합의한 것이다.

택시 연료로 디젤, CNG가 공식 연료로 채택될 수 있도록 국회 및 정부 등에 건의하고 연료 세제 혜택, CNG택시 개조 비용 등 정부의 안정적인 지원을 받는 게 택시업계 목표다.

정부에서는 택시업계의 움직임에 아직까지는 구체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있다.

대구시에서는 CNG개조 택시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방비를 투입해 CNG택시 개조비용을 지원할 방침이지만 정부는 참견하지 않고 있다.

지자체 자체적인 판단으로 지원하는 것을 중앙 정부가 일일이 간섭할 수 없다는 게 이유다.

하지만 택시업계가 대구시의 사례를 들어 전국 지자체에 CNG개조 비용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애써 외면만 할 일이 아니다.

만약 택시업계의 요구로 타 지자체까지 CNG개조 비용을 지원한다면 전국적으로 LPG 역할은 축소될 수 밖에 없다.

정부가 내놓은 LPG-LNG간 적정 역할분담(균형발전)방안 시나리오에 빗나가게 되는 것이다.

지난해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LPG-LNG균형발전 방안에 따르면 국가 에너지 안보 실현을 위해 1차 에너지원 중 LPG비중이 4%대로 유지돼야 한다.

또 그 실행수단으로 ‘수송용의 경우 대형차량은 천연가스, 소형차량은 LPG가 담당하도록 역할 분담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더구나 4%대의 비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LPG업계의 최대 고객인 택시가 LPG를 떠나서는 안 된다.

국토해양부가 집계한 자동차 등록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전체 LPG자동차 중 택시 등 사업용 LPG승용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5.8%로 파악되고 있다.

시민의 발로 활발히 운행되고 있는 택시는 LPG충전소 매출의 40%를 차지하고 있어 LPG업계의 안정적 수요처다.

정부는 더 이상 방관자가 되서는 안된다.

정부가 균형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배경은 에너지의 다양성을 확보해 에너지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또 국민 안전이 달려 있는 만큼 정부가 나서서 CNG개조 자동차 안전성 및 경제성을 총체적으로 따져보고 특정 연료에 집중되는 에너지 세제 특혜도 바라잡는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