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신 편집국장
냉난방시장에서 전기와 가스는 서로 대체제이자 보완제의 관계에 있다.

전기나 가스 모두 요금을 정부가 관리하면서 원가에 못미치거나 또는 원가 인상 요인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보니 인기가 높다.

하지만 히트펌프 시장에서는 전기가 가스의 인기를 한참 앞서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과 GHP(가스히트펌프, Gas Heat Pump)를 설치하는데 부담스러운 비용, 소비자 인식 부족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결과다.

냉동공조협회 자료에 따르면 EHP(전기히트펌프, Electricity Heat Pump) 판매대수는 GHP를 훨씬 앞서고 있다.

2009년 기준 EHP가 5만2651대 보급되는 사이 GHP는 282대에 그쳤다.

전기식 히트펌프의 선호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최근의 추세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전기요금이 생산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비정상적 구조로 동·하절기를 구분하지 않고 전력 피크를 고민해야 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냉난방 시장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적정한 수요 분산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행히도 정부는 냉난방 전력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EHP 설치를 억제하고 GHP를 장려하는 정책을 내놓고 있다.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제품에 포함되며 정부의 각종 정책적 지원을 받던 EHP를 인증 대상에서 제외시킨데 반해 GHP가 그 자리에 서게 된 것이다.

GHP가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대상에 포함되면서 공공기관에 적극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고 설치 기관에서도 투자세액 공제나 정부의 융자 지원 같은 혜택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냉난방시장에서 GHP 보급이 확대되면 전력에 편중된 에너지 소비 구조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비전통가스 개발 붐이 일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국제가스가격이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행히 최근 들어 가스냉난방 설치 용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가스냉방을 도입한 건물은 354곳, 설치 용량은 14만2000RT를 기록해 최근 5년 동안 최대 규모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GHP에 대한 일반 소비자 인지도가 낮고 초기 설치시 자금부담도 커서 보급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GHP가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대상에 포함되면 공공기관 보급 기반은 마련될 수 있지만 일반 시장까지 설치 규모를 늘리는데는 한계가 뚜렷하다.

정부는 가스냉방 설계와 설치 과정에서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는데 이 규모를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가스냉방 설치 지원금의 재원은 가스와 경쟁, 대체 관계에 있는 전력 분야 기금인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충당되고 있다.

가스냉방 확대가 곧 전력 피크 분산으로 전력 산업의 건전한 발전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일본 대지진 사태로 벌어진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전세계적인 원전 기피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전력효율을 높이고 무분별한 수요 확대를 억제하는 정책은 반드시 필요하다.

가스냉난방 보급이 확대될 수록 전력 피크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은 줄어 들고 값싼 전기 사용 증가에 따른 한전의 막대한 적자폭 감소, 비전통가스 등의 개발사업에 대한 적극적 참여 동기 부여 등의 이점이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홍보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