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병효 기자
이제 도시가스사들에게 신규사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많은 도시가스 CEO들은 신년사를 통해 올해 신규사업을 확대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놓았다.

그러나 막상 실무진들에게 세부계획을 물어보니 답변이 영 시원찮다. A 도시가스사 직원은 “해마다 되풀이 하는 멘트이지, 그것을 꼭 집중적으로 하겠다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적잖이 충격적인 답변이었다. 이 괴리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CEO의 경영목표가 직원들한테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탓일까, 아니면 직원의 나태함이 문제일까. 그런데 얘기를 좀 더 듣고 보니 근본적 원인은 다른 곳에 있었다. 그것은 정부의 일관되지 못한 에너지 정책 때문이었다.

얘기인 즉,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종잡을 수 없이 바뀌니까 정책이 발표돼도 도저히 믿고 투자할 수가 없다는 것이었다. 지난해 도시가스업계는 정부의 LNG버스 시범보급 사업이 철회된 데서 크게 한 번 데인 적이 있다.

무엇보다 업계의 가장 큰 불만은 원가보다 낮은 전기요금이다. 물론 서민경제가 어려워 물가안정이 필요한 점은 알지만 요금이 원가보다 낮게 책정되면서 서로 연관될 수밖에 없는 모든 에너지사업이 수익성 악화 등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많은 에너지업계 관계자들이 불만을 토로했다.

구역전기는 낮은 전기요금 때문에 큰 타격을 받은 사업 중 하나다. 구역전기사업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열병합발전기를 돌려 1차로 전기를 생산하고 폐열로 난방까지 공급하는 고효율의 발전방식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구역전기사업은 수익을 실현할 전기와 난방요금이 공기업인 한전과 지역난방공사의 낮은 수준의 요금에 맞춰지면서 수익은 고사하고 일부 사업장의 경우 자본잠식 상태에 까지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구역전기뿐만 아니라 수송유, 등유, LPG, 도시가스, 신재생에너지 등 여러 에너지원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해당업자들의 고통과 불만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

최근 실질실업률이 높은 수준인 16%라고 한다. 고용이 창출되려면 기업이 투자를 해야 한다. 기업이 투자를 하려면 먼저 정부의 확고한 정책이 세워져야 한다. 원가보다 낮은 전기요금이 과연 서민적인가에 대해 정부는 심각한 고민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