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신 편집국장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펠릿보일러 제작사들이 연쇄 폐업하면서 애꿎은 소비자와 선발 생산사들만 애를 먹고 있다.

펠릿은 재생 가능한 자원인 목재를 칩으로 만든 것으로 보일러 연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고 연료비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수많은 업체들이 펠릿보일러 생산업에 뛰어 들었는데 영세성을 면치 못한 상당수 업체들이 도산하면서 이들이 판매한 제품의 사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한때 정부는 펠릿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관련 보일러 생산업체에 융자금까지 지원하면서 육성책을 펼쳐왔다.

이에 힘입어 펠릿보일러 생산업체는 한때 41곳에 달할 정도로 성황을 이뤘지만 현재 살아 남은 업체는 21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폐업한 20개 회사가 판매한 펠릿보일러만도 1700여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펠릿보일러 생산 업체들의 난립은 사실 시장 형성 초기 단계부터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정부의 보급 육성책을 쫓아 영세 업체들이 대거 시장에 진출했고 불량 제품 유통에 따른 소비자 피해 사례가 끊임없이 보고되어 왔다.

펠릿 보급 정책만 제시했을 뿐 정작 제품에 대한 성능인증이나 품질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일부 생산사 제품은 사용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잦은 고장으로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심지어 검증되지 않은 저급한 중국산 펠릿 연료나 보일러가 시중에 대거 유통되기도 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펠릿 보일러 성능과 설치기준을 마련했고 지난해 말에는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품목에도 포함시켰지만 이미 영세업체들은 상당량의 펠릿보일러를 시중에 유통시키고 폐업한 상태로 소비자들이 사후관리를 요청할 창구가 없어진 상태다.

소비자 민원이 확산되면서 정부는 펠릿보일러를 생산하는 중견 업체들을 대상으로 폐업 업체를 대신한 A/S 방안을 마련중이다.

지역별로 A/S를 분담해 폐업 업체들이 판매한 제품의 사후관리를 맡기겠다는 것인데 궁여지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사고 있다.

법정 품질 규격 등이 제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업체들이 제각각 생산, 유통시킨 펠릿보일러의 사후 관리 방안이 일단 마땅치 않다.

관련 부품 조달이 어렵고 선발 업체들에게 A/S를 떠맡기더라도 정부가 관리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다.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관련 산업이 성숙할 수 있도록 지켜보는 인내심과 멀리 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당장의 성과에 급급해 번개불에 콩 볶듯 밀어붙이면 제2, 제3의 펠릿보일러 사태를 면하기 어렵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