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병효 기자
모든 큰 변화에는 찬성과 반대 의견이 있기 마련이다. 관건은 시행하는 측에서 반대의견도 최대한 반영하고 설득해 큰 탈 없이 변화를 이끌어 가는 것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내년 7월부터 도시가스 요금제가 부피당 계산에서 열량당 계산으로 전면 바뀔 예정이다. 열량범위제 전환은 이미 도매를 맡고 있는 가스공사 사장과 소매업계를 대표한 도시가스협회장의 승인이 났고, 최종적으로 지경부 장관의 승인만 남겨두고 있다.

절차상으로 보면 시행만 하면 되는 듯 하는데 업체 하나하나의 의견을 들어 보니 아직 해결해야 할 부분이 일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의견은 시행일을 늦춰 달라는 것이었다.

한 도시가스사 관계자는 "요금계산 단위가 ㎥에서 열량으로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전면적인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미 내년 1월 시행에서 7월로 늦춰진 것은 알지만 도시가스업계가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좀 더 시간을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다른 도시가스사 관계자는 "열량변화로 인한 피해 발생 시 그 비용부담을 가스공사가 보장하지 않는 한 도시가스사가 안을 수밖에 없다"며 "시행일에 상관없이 보다 철저하게 산업체기기에 대한 실증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달리 시행일을 예정대로 해야 한다는 도시가스사도 있었다.

이 도시가스사 관계자는 "가스공사가 이미 내년 초 시행일을 하반기로 늦춘 것 아니냐"며 "업계가 대응할 시간은 충분히 줬다고 생각하며 늦추지 말고 예정대로 7월에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시가스사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양분되고 있는데, 그 기준을 살펴보니 권역 내에 산업체가 다수 있는지, 없는지로 구분됐다.

즉, 산업체가 많은 곳은 아무래도 피해 발생 시 도시가스사에서 보상해줘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보다 신중을 기하자는 것이고, 가정상업용이 대부분인 곳은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결정권을 쥐고 있는 가스공사는 예정대로 시행한다는 방침이지만 최대한 업체들을 설득하려는 의지도 보이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10개 산업의 여러 사업장에서 실증조사를 했고, 특정지역에서 수년 간 열량범위제를 시행한 결과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도시가스사에서 우려하는 것만큼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만 이러한 우려가 홍보와 지도가 덜 됐기 때문으로 보고 산업체 및 도시가스사를 직접 방문해 설명하겠다는 뜻을 보였다.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열량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열량범위제로의 전환은 불가피하지만 그 시행일을 언제로 하느냐는 파장을 감안할 때 정말 신중을 기울여야 하는 사안이다.

절차나 시간 여부를 떠나 열량범위제 전환에 따른 시행착오가 최소화 되도록 소비자, 도소매업계 관계자들의 심도 있는 논의는 마지막 그날까지 계속 진행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