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신 편집국장
천연가스 차량이 디젤 차량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지적되어 온 미세먼지 발생 부분에서 유리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 발생량 부분에서도 천연가스 차량이 상대적으로 청정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서울시는 20

02년 한일 월드컵 유치를 앞둔 2000년 이후 대도심 대기질 개선을 목적으로 CNG버스를 정책적으로 보급해 왔고 햇수로 12년째를 맞고 있다.

환경부와 서울시의 적극적인 환경친화차량 보급 정책에 힘입어 그 사이 서울시내 운행 버스가 CNG로 전환되는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청정성을 크게 개선시켜 온 디젤 업계가 힘겨루기를 시도하고 있다.

클린디젤 개발로 환경친화성이 크게 높아진 만큼 CNG버스와 동등한 지원과 보급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해 관계를 달리하는 전문가나 관련 업계 사이에서 저공해 자동차에 대한 환경 친화성 여부를 바라보는 시각이 제각각이다.

한편에서는 천연가스 차량의 환경 친화성에 손을 들어 주고 또 다른 편에서는 클린디젤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차량이나 연료의 환경친화성을 계량화하는데는 여러 가지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크다.

표본 차량이나 분석 조건을 어떻게 선택하느냐 오염물질 배출량은 어느 시점에 누가 분석한 데이터를 사용하느냐 등 대입 요소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또 처한 상황별로 수송연료나 차량별 우수성만 지나치게 부각시키고 단점은 외면하려 하고 있다.

수송 연료 업계간 아전인수식 해석을 한다는 지적을 살만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중립적 기관에서 보다 공정한 데이터와 분석 방식을 동원해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표본적인 환경 친화성능을 가늠해야 한다.

환경 변화에 맞춘 탄력적인 정책 수용 의지도 필요하다.

CNG 버스 보급을 주도하고 있는 서울시의 시의회는 최근 ‘서울시의 CNG차량 지원 정책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열었는데 CNG차량을 지지하는 측과 클린디젤 차량을 선호하는 측 사이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CNG차량을 지지하는 서울시와 환경부 관계자들은 환경친화성과 연료비 경제성 같은 장점들을 소개하는데 주력했고 그 반대측 인사들은 연료 선택의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CNG 차량에 편중된 정책적 지원의 불균형을 시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았다.

CNG 연료비 경쟁력은 유류세가 부과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고 차량 구입 단계에서 충전 과정 등 에서 다양한 보조 지원이 이뤄지면서 지자체의 재정 적자가 심화되고 있는 점을 부각시켰다.

한 발제자는 서울시의 시내버스 지원으로 인한 재정 적자가 지난 해 이후 매년 3000억원대를 넘고 있다고 지적했다.

CNG 버스의 안전성도 도마위에 올랐다.

서울시와 환경부는 오로지 CNG 버스를 환경보전의 금과옥조로 여기고 또 다른 편에서는 CNG버스의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모양새인데 더 이상의 소모적인 논란은 종식돼야 한다.

정부가 CNG버스를 대기환경 보전의 첨병으로 내세우던 당시의 명분은 충분했다.

하지만 클린디젤자동차가 환경친화자동차에 포함될 정도로 청정성이 향상됐고 연비 경쟁력에서 우수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간의 청정 버스 보급 정책을 재평가할 때가 됐다.

첫 단추를 CNG 버스로 꿰었다는 이유로 귀를 닫고 편향된 정책적 지원을 계속하겠다는 고집은 버려야 한다.

클린디젤의 장점이 무엇인지 제대로 바라보려는 탄력적인 사고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환경부가 절대적으로 지지하는 CNG차량의 장점 조차 퇴색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