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범수 기자
천연가스는 배로 운송하기 쉽게 액화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동시에 파이프를 통해 생산 즉시 운송을 할 수도 있다.

물론 비용은 파이프를 이용하는 게 저렴하다.

남북 가스관 사업으로 러시아 가스를 파이프로 들여오면 액화천연가스를 배로 들여올 때보다 운송비를 3분의1 이상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는 안정적인 수출시장을 확보할 수 있고 북한은 통과 비용을 받을 수 있어 3국 모두에게 이득이다.

이에 이명박 대통령은 시베리아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취임 첫 해인 2008년 9월 러시아를 방문, 2015년부터 매년 최소 100억㎥의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한국으로 수출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성과를 거둔바 있다.

그러나 대북관계 악화로 모든 것이 중지됐다.

하지만 최근 주강수 가스공사 사장이 러시아를 방문해 러시아산 가스를 한국에 공급하는 프로젝트와 관련한 ‘로드맵’에 서명하고,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이 러시아를 방문해 양국 외무장관 회담을 갖고 남북 가스관 사업에 대해 일정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최근 러시아에 방문해 천연가스 운송을 위한 가스관이 북한 영토를 통과해도 좋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오는 11월쯤 가시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반면, 북한의 태도 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크다는 것이 여전히 부담이다. 가스관 사업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남북 관계 신뢰가 구축돼야 하는데, 현재 남북 신뢰가 땅에 떨어진 상태다.

그렇기에 이 사업이 추진되려면 남북관계의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이는 또 비핵화 논의까지 연동될 수밖에 없다. 러시아는 비핵화 논의가 좀 더 진행돼 6자회담이 열리면 가스·전기·철도 연결 등 실질 사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이번 가스관 사업은 남북관계 개선뿐만 아니라 대북 에너지 지원 방안이라는 점에서 핵문제 해결책까지 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