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범수 기자
국내 에너지시장은 경쟁관계이다. 어떤 분야가 성장하면 다른 쪽 파이가 줄어든다.
 
최근 택시시장을 놓고 새로운 도전자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천연가스 업계에서 연료비 절감, 재정지출 절감, 공공요금 안정화 등 대의명분으로 무장하고 택시시장을 넘보고 있다.

특히 석유에 치우친 수송용 연료 분야를 분산시켜 장기적 공급안정을 꾀하고 요금을 정부차원에서 통제할 수 있다는 부분이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그럴싸하다.

하지만 기존 택시시장에 크게 기대고 있던 LPG 사업자들에게는 맑은 하늘에 날벼락같은 소리다. 소위 밥그릇 깨는 주장이기 때문이다.

밥그릇 문제에 앞서 국내 에너지 정책 구조가 더 큰 문제로 보인다.

에너지원 별로 사업자가 다르고 그 사업자들끼리 한정된 시장을 뺏으려 경쟁한다. 이는 수송용 영역뿐만 아니라 전 분야가 모두 그렇다.

상황별, 분야별로 분명 가장 유리하고 합리적인 에너지가 있다. 그렇지만 이런 문제는 서로 뺏어야만 하는 경쟁관계에 놓인 에너지 사업자들 입장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선 차지, 후 합리화. 이 때문에 국내 에너지원별 설정은 불합리한 점들이 많다. 국가적 관점에서 비효율적이고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는 문제이다. 또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떠안는다.

분명 천연가스 업계의 택시시장 진출 주장은 신빙성이 높다. 하지만 그전에 정부의 정책적 준비가 필요하다. LPG 업계는 사활이 걸린 문제이기에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이를 저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에너지는 국민들이 누려야할 혜택이기에 시장논리에 방치할 영역이 아니다. 사업자들 이권보다 국민들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게 올바른 에너지 정책이다.

또 이런 일은 오직 정부에서만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