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의 재앙에 일본 열도가 아수라장이 되고 있다.

진도 9의 강력한 지진에 쓰나미까지 더하면서 직격탄을 맞은 도시들은 폐허가 되고 말았는데 더 심각한 것은 원전 방사능 유출 사고다.

14일 현재 가동이 자동 정지되거나 피해를 입은 원전은 오나가와 원전 1~3기, 후쿠시마 제1원전 1~3기 및 제2원전 1~4기, 도카이 원전 제2기로 총 설비용량은 9700 MW에 달한다.

특히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와 3호기에서 수소 폭발로 인한 방사능 누출이 확인됐고 미야기현의 오나가와 원전에서도 지진 직후 터빈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등 중대한 고비를 맞고 있다.

우리나라가 일본과 같은 환태평양판에 위치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대지진의 발생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측이지만 우리 전력 생산량중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원전에 대한 재정비와 원전 확대 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 전력 생산 설비 용량중 약 24%가 원자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원전시설 비중은 41%, 원자력발전 비중은 59%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화석연료인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원전은 확대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견인하겠다는 발상이다.

이와 관련해 현재 삼척, 울진, 영덕 등에 신규 원자력 발전소 부지를 물색중이다.

사실 전기만큼 청정한 에너지를 찾기는 쉽지 않다.

전 세계적으로 내연기관에 의존하는 화석연료 자동차를 줄이고 전기자동차 개발에 몰두하는 배경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전기가 ‘청정한가’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지난 16일 국회에서 열린 그린카 관련 토론회에서 기계연구원 정동수 그린카연구센터장은 전기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이 오히려 더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화력발전 등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 환경부는 대기오염 저감을 목적으로 자동차와 연료 제조기술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오토오일위원회’가 발족시켰는데 연구 과제중 하나로 전기의 환경 친화성도 다뤄질 전망이다.

위원회에서는 보다 청정한 연료와 자동차를 개발해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활동이 진행될 예정인데 연구 과제중 하나로 에너지 생산에서 제조 단계(well to tank)와 자동차 구동 단계(tank to wheel) 등 전주기에 걸친 환경친화성 여부가 검토된다.

전기도 검토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기 자체는 청정하지만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 즉 어떤 원료를 투입해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가 까지를 따져 보면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정부가 화석연료 발전을 대체하는 원전 비중을 확대하기로 한 것도 따지고 보면 전기의 청정성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번 일본의 대지진 참사를 계기로 원전의 안전성까지 재검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환경단체 등을 포함해 다양한 경로에서 원전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시민단체인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약 150기의 원전이 가동 중인 유럽연합 위원회가 최근 에너지장관과 핵전문가 회의를 열고 원전 정책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필리핀은 바탄 원전에 대한 재가동 논의를 중단하고 재생가능에너지로 눈을 돌리겠다고 발표했다.

우리 정부는 한국형 원전의 안전성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자부하고 있지만 일본의 사례처럼 만의 하나 원전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재앙으로 번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원전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기존 입장만 고집해서는 안될 것이다.

‘절대적인 안전은 없다’는 사실이 이번 일본 참사를 통해 다시 확인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