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산업 발전에 공로가 큰 업계인들을 격려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LPG협회와 LP가스공업협회, LP가스판매협회 등은 올해로 6번째를 맞는 LPG의 날 행사를 지난 3일 열었다.

하지만 LPG 산업인의 잔치가 되어야 할 행사의 분위기는 그리 활기찬 모습이 아니었다.

LPG 산업의 당면 현안들이 발전 지향적이기 보다는 수성(守成)을 걱정해야 하는 이슈들로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일단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 대한 공급 확대 정책이 가장 큰 어려움이다.

LPG와 경쟁관계인 도시가스 공급이 확대될 수도록 시장 기반이 축소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수송연료 시장의 입지도 걱정해야 할 판이다.

기획재정부가 제3차 에너지세제개편과 자동차 관련 세제개편 작업을 추진중인 상황에서 LPG자동차가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한 것은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다.

CNG에 이어 클린디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대목은 LPG 산업 위기론의 근원이 되고 있다.

LPG에 특화된 택시 연료로 경유를 허용해야 한다는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어 있고 클린디젤 자동차에 대한 세제감면을 요구하는 법안도 최근 발의됐다.

현대자동차는 CNG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을 완료했고 환경부와 국토해양부 등을 중심으로 LCNG 연료 보급 기반을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중이다.

야심차게 출시된 LPG 경차나 LPG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좀처럼 시장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고 CNG 버스 폭발 사고를 계기로 LPG 자동차의 안전성까지 의심받는 유탄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LPG 산업을 지배하는 다양한 위기감은 하지만 스스로 자초한 대목이 적지 않다.

도시가스 공급 지역 확대 정책은 소득이 적은 지역 거주자들이 오히려 불편하고 비싼 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소득역진성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고 있는 만큼 특정 연료 사업자의 이익을 위해 반대할 수 있는 명분이 적다.

그렇다면 LPG도 도시가스처럼 편리하며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소비자 인식 전환과 관련 사업자들의 현실적인 노력이 필요한데 LPG 유통 단계의 마진이 높다는 지적이 여전하고 LPG 소형용기 직판 등 위기 해법으로 제시된 사업들의 추진 실적도 저조하다.

석유업계는 기계연구원 등과 손 잡고 디젤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사업에 착수했고 국회나 정부, 각종 여론 형성층을 설득시켜 클린디젤에 대한 우호적인 지원과 인식을 형성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반면 LPG 업계는 LPG의 환경 친화성을 홍보하거나 관련 차량의 개발을 통한 신 수요 창출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LPG는 그간 국가 에너지 산업의 다원화와 수급 안정, 환경 친화 정책 등에 호응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렇다고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이 전 세계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과거의 공로만 주장하며 시장 보호를 요구할 수는 없는 일이다.

환경오염의 대표로 인식되어 왔던 디젤 및 관련 자동차가 이제는 대표적인 환경 친화적 연료와 자동차로 부상되고 있고 대형마트 주유소 등장과 실시간 판매 가격 공개 등의 정책으로 주유소 등 석유 소매 사업자들이 소비자 선택을 받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모습을 지켜 보면서 LPG 산업에 닥칠 미래에 대한 전망과 위기 극복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

다가 오는 해 LPG의 날 행사는 올해 보다 좀 더 발전적인 비전과 해법이 제시되는 모습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