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 서울 시내에서 CNG 버스 용기 폭발로 인명 피해를 동반한 사고가 발생한 지 수개월이 흘렀다.

거의 해마다 반복되는 CNG 버스 용기 관련 사고에 CNG 버스 보급 정책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뒤로 하고 정부는 용기를 포함한 CNG 안전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편에서는 각종 해외 진출 사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환경부와 천연가스차량협회는 다음달 9일부터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시에서 ‘Global-Korea 천연가스자동차(NGV) 포럼’을 개최한다.

CNG차량 개조 사업과 유통 인프라 사업을 계획중인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에서 글로벌 코리아 천연가스자동차 포럼이 열리는 대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가스공사는 우즈베키스탄 현지에 CNG 충전소 건설및 운영 등과 관련한 유통 인프라 수출 작업을 추진중이다.

만약 가스공사의 현지 진출이 성공하면 관련 차량 개조 사업체들의 동반 진출도 가능하다.

구 소련에서 독립한 CIS 국가들이 경제 블록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인근 국가들로 사업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하지만 해외 진출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결돼야 할 점들이 적지 않다.

안전관리시스템이 동반돼야 한다는 대목이 그렇다.

하드웨어적인 충전 인프라나 차량 개조 기술의 수출에 성공하더라도 안전이 담보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상당량의 가스전을 보유하고 있는 자원 부국들이다.

가스공사가 천연가스 차량을 이용한 유통 인프라 구축 사업에 진출하고 네트워크 메이저 기업으로 우뚝 서게 되면 현지 가스전 개발 사업에서도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가스공사가 CNG 유통 인프라 구축 사업의 대상 국가를 호주 등 해외 여러 국가로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중인 점을 감안하면 우즈베키스탄의 성공적인 진출 여부가 중요한 시발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연례행사 식으로 터지고 있는 CNG 버스용기 폭발 사고가 해외 진출국에서 조차 발생하게 된다면 후진적 안전관리시스템을 수출했다는 비난을 살 수 밖에 없다.

CNG사업의 해외 진출은 비단 유통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관련 차량의 개조 기술이나 용기 관련 업체들이 동반되는 만큼 CNG차량과 충전 인프라의 선진화된 안전 관리 시스템의 수출이 병행된다.

보다 확고한 CNG 관련 안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이제 수출의 성패 여부와도 직결될 수 있다는 관련 정부 당국의 인식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