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수요가 적은 오후 10시 이후부터 다음날 오전 8시까지의 전력을 난방과 온수 축열용으로 사용하는 전력에 대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심야전기제도가 사실상 폐지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지식경제부 전기위원회는 이르면 다음 달부터 심야전기요금을 인상하기로 하고 심야전력 수요 억제를 위한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특히 김영학 2차관은 전기료를 7~7.5% 사이로 인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으며 인상시기도 빠르면 내달, 늦어도 7월에는 인상된다고 못박았다.

이처럼 심야전기요금 인상에 대해 지경부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심야전기요금 인상 등과 관련해 이견을 보이며 논의를 벌여 왔던 심야보일러 제조사와 지식경제부, 한전간 의견조율이 끝난게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번 발표에 정작 제조업체들의 반응이 격렬하지 않다.

얼마 전 만난 심야보일러 제조업체의 한 관계자는 심야전기요금이 올라 판매량이 많이 부진하겠다는 기자의 말에 아직도 심야전기보일러를 제조하는 회사가 있느냐며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 업체 뿐 아니라 심야전기보일러를 제조하는 타 업체의 반응도 많이 미지근해졌다. 업종전환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인데 그렇다면 심야전기제도의 폐지와 전기료 인상과 관련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자는 누구일까?
바로 소비자다.

정부가 전력이 남아 돌 때는 값싼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판매를 하고 수요가 늘어나자 이제는 빠른 속도로 가격을 올리며 처음 내세웠던 약속을 하나둘씩 어기고 있는 것이다.

한 간담회에서 자칭 심야전기제도를 만들었다는 한 공무원은 처음 심야전기제도의 취지가 크게 퇴색되고 있다고 고백하며 우후죽순으로 사용자를 늘리는게 아니었다며 선량한 소비자들이 피해를 받게 됐다고 말했다.

결국 미래를 내다보지 못한 정부의 안일한 제도로 인해 피해는 소비자들이 고스란히 받게 됐다.

심야전기보일러 제조업체들이 하나 둘씩 사업을 포기하게 되면 A/S를 비롯한 사후 관리도 문제가 된다.

정부의 신중하지 못한 탁상행정에 비싼 값에 심야전력보일러를 설치한 소비자들만 울게 생겼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