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연료를 대체하고 친환경성까지 갖추면서 석유대체연료중 최초로 상용화된 바이오디젤이 관련 업계의 심각한 도덕적 해이로 위기를 맞고 있다.

전 세계적인 금융 위기와 국제 곡물가격 상승, 환율 변동 리스크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을 찾지 못하고 있는 어려움은 백번 이해할 수 있지만 공정하지도 그렇다고 명분을 찾을 수도 없는 과열 경쟁과 경쟁 회사나 정부, 정유사 탓만 하는 장면은 이해할 수 없다.

석유품질관리원이 집계한 2008년도 바이오디젤 품질검사 내역에 따르면 지난 해 총 233건의 바이오디젤 품질검사 결과 30건의 불합격 제품이 적발됐다.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일반 석유제품의 불합격율이 1%대인데 반해 무려 12.87%의 불합격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또 국내 생산업체의 생존이 위협받는다며 바이오디젤 완제품 수입을 금지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던 바이오디젤 생산 업계는 너도나도 외국산 바이오디젤 완제품 수입을 통해 정유사 공급량을 채우고 있다.

이럴 바에는 무엇 때문에 막대한 자금과 노력을 들여 제조 플랜트를 건설했는지 의문이 든다.

국민의 혈세로 면세 혜택이 적용되는 바이오디젤 완제품을 일반 석유제품보다 비싸게 수입해 공급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묻는다면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인가 알 수 없다.

바이오디젤 면세혜택이 외국 바이오디젤 수출업자의 배만 불려주는 꼴인 것이다.

최근 불거진 바이오디젤 완제품 불법 수입 사건은 동종 업계 경쟁사의 제보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지만 이런 문제점이 과연 이번 한 번의 과오였고 해당 업체만의 문제였는지 의문스럽다.

자금 시장 경색으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서 바이오디젤 업계는 주가나 투자 심리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으로 정유사 납품 실적을 확보하는데 혈안으로 스스로가 과열경쟁을 자초하고 있다.

일단 저가입찰을 통해 공급권을 확보해놓고 납기일을 맞추지 못하거나 품질불합격을 받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목격될 뿐 아니라 공급권만 확보하고 남의 회사제품을 사다 공급하는 웃지 못할 경우도 흔하다.

이런 상황이 되고 보니 오히려 공정한 경쟁을 원했던 선의의 업체들은 피해를 보고 업계는 점점 더 초라해지고 있다.

자신들이 힘들다는 이유로 정유사와 정부를 탓하기에 앞서 과연 바이오디젤 업계가 정상적인 성장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묻고 싶다.

건전한 성장을 위해 이제 막 첫발을 띄고 있는 바이오디젤 업계가 당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꼼수를 찾기보다는 고통을 감수하고 중장기적인 업계 자체의 정화노력을 기울여야 앞으로의 바이오디젤 업계는 물론 타 신재생에너지 업계의 성공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