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행사나 이벤트를 이른 바 ‘탄소중립(Carbon Neutral) 프로그램’으로 치르는 운동이 인기를 끌고 있다.

'탄소중립(Carbon Neutral)'이란 각종 행사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실질적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뜻하는데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은 지난 2월 탄소중립캠페인 출범식을 시작으로 다양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8월 열린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 행사가 국내 최초로 ‘탄소중립행사’로 인정받았고 9월 열린 ‘제5회 에너지의 날’ 행사 역시 탄소중립으로 진행됐다.

이 외에도 ‘에너지대전’행사를 시작으로 10월 ‘한국전자대전’, 11월 ‘국제기계박람회’ 등 국·내외 널리 알려져 있는 국제적 행사가 탄소중립을 모토로 치러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탄소중립 프로그램의 성과는 일단 성공적이지만 몇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될 것 들이 있다.

우선 개인과 기업 등 참여자의 자발적인 의지를 이끌어 내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탄소중립행사에는 상당한 비용이 수반된다.

각종 행사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최소화해야 하고 발생 온실가스를 상쇄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에 해당되는 숲 가꾸기나 신재생 에너지 설비 투자 등이 이뤄져야 한다.

한국전력과 가스공사 등 에너지 유관 공공 기관들이 탄소중립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하고 있지만 민간 기업까지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그만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지식경제부는 탄소중립에 참여하는 기업들에게 정부가 지정한 탄소중립인증마크 사용을 허용하는 등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이미지 구축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발굴하고 제공하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

범 정부 차원에서 선택과 집중도 필요하다.

환경부는 최근 저탄소형 생활 문화를 확산시키겠다며 국민실천운동인 그린스타트 운동에 착수했다.

실용정부가 표방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향점으로 삼으면서 다양한 온실가스 저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으니 시의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을 만 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이 각 정부부처간의 성과에 집착하는 이벤트로 전락해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있다.

온실가스 감축은 이벤트 보다 자발적인 참여와 실행이 중요하다.

그래야 제대로 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