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공사 이헌만 사장이 결국 자리에서 밀려났다.

정권 교체후 공기업 사장에 대한 퇴진 압박에도 불구하고 법적 임기 보장의 논리로 꿋꿋하게 자리를 지켜온 그였지만 밀려오는 스트레스를 감당하기는 어려웠던 것이다.

결정적으로 그에게 타격을 준 것은 노조 등 공사 내부의 반감으로 보인다.

한 솥밥을 먹어온 이들이지만 사장의 거취문제가 공사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표출됐기 때문이다.

감사원 감사, 지경부 감사 등에 잇따른 외부의 압력보다 견디기 힘든 것이 내부조직에서 더 이상 리더쉽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아닐지 짐작해본다. 씁쓸한 일이다.

내부에서조차 비난의 대상이 돼 쫓기듯 자리를 떠나는 이 전사장의 뒷모습은 한 없이 초라하다.

‘새 정부의 철학과 가치를 실행할 수 있는 인물을 수혈해야 한다’는 정부의 논리대로라면 이헌만 전사장은 분명 적절한 인물이 아니다. 괴로운 날을 견디는 것보다 알아서 떠나는 것이 현명한 처사였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공기업 사장의 인선 절차와 과정을 감안할 때 수개월간 사장 자리가 공백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가스와 관련한 국민의 안전생활을 책임지는 공기업 조직의 불안한 표류가 짐작되는 대목이다.

정권이 교체될 때 마다 벌어지는 이러한 현상을 되풀이하는 것이 정녕 국민을 위한 일인지 따져 볼일이다.

특히 능력 있고 일 잘하는 인물을 뽑기 보다는 정권 교체 또는 유지에 기여한 인물들의 논공행상을 위해 공기업 사장 자리가 요긴하게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는 더욱 커진다.

공모라는 형식을 두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정치논리로 인선이 마무리되는 것은 이미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이전 정권과는 차별화를 내세우는 현 정부 역시 인선에서 사심을 드러내기는 마찬가지 아닌가.

수시로 바뀐 인선 원칙과 재 공모 등 부작용은 이미 다른 공기업 사장선임 실태에서 드러나고 있다.

때문에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공기업의 선진화 방안에 정권교체 때마다 불거지는 사장 선임 문제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할 방안도 담겨 있기를 바란다.

정권 교체 때마나 사장 선임에 따른 내분과 업무 공백, 사업 차질이 반복되는 현상은 선진이라는 단어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