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산업 구조개편과 공공기관 민영화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흡사 가스산업 구조개편에 대한 논의가 처음 시작된 10여년 전과 분위기가 비슷하다.

당시 활발하게 논의되다 폐기되다시피 한 천연가스 도입도매 부문의 3개 분할에 대한 논의가 어느 순간 고개를 들었는가 하면 공기업 민영화와 관련된 찬반양론이 거세다.

정부가 그토록 외쳤던 ‘직도입 활성화를 통한 경쟁시장 조성’이라는 방침과는 별도로 시계추는 1998년을 향해 있다.

새롭게 등장한 석유공사와 가스공사의 통합 지주회사 설립 및 대형화와 관련된 이슈가 부각됐을 때에는 가스공사의 주가가 껑충 뛰어오르더니, 다시 그 기세는 한풀 꺾이고 있다.

하지만 산업 구조개편에 대한 줄기는 아직도 어느 방향에 뿌리를 두고 안착해야 할지 결정되지 못한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스공사를 비롯한 일부 공기업에 대한 정부의 민영화 방침은 ‘강경모드’에서 조금 완화된 분위기다.

광우병 소고기 수입과 관련된 불안한 민심이 공기업 민영화로 더욱 촉발될 것을 부담스러워 한 정치적인 고려이든, 산업적 측면에서의 합리적인 방안을 고려해서든 일단 정부가 가스공사 등의 완전한 민영화에 대해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는 점은 확인됐다.

가스공사 내부 분위기도 그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조금 안정된 듯하다.

그렇다고 공기업에 대한 인적쇄신 작업까지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공기업 민영화의 핵심은 관련 산업의 합리성 추구도 있지만, 주인 없는 공기업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폐단을 바로잡자는 데에도 있다.

더구나 극심한 인사정체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조직에서는 신선하고 개혁적인 바람이 쉽게 소통하기 어렵다.

이때 외부로 부터의 자극은 필연적이다.

아무리 깨끗한 물이라도 흐름 없이 오래 고이면 썩기 마련이다.

끊임없는 자정노력을 기울이고, 그러한 노력을 통해 얻은 성과를 외부로부터 인정받을 때 비로소 ‘조직의 견고함’을 주장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대주주가 휘두르는 칼날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