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 업계가 인기 몰이를 했던 SUV의 감산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중고차시장에서 경유 차량의 가격은 수직 하락하고 있다고도 한다.

그간 수입차 업계의 고급세단 출시와 SUV열풍, 프라이드와 아반떼 디젤 모델 출시 등 고유가 시대의 대안이자 유행으로 경유차의 출시가 늘어났던 점과는 상반된 이야기다.

이런 이유는 결국 경유가격이 휘발유 가격 보다 높아지고 있다는데 있다.

연비가 휘발유에 비해 뛰어나다는 장점만으로는 높은 차량가격과 1년에 두 번 납부하게 되는 환경개선 부담금 등 경유 차량을 선택할 경제적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유는 운송, 물류업계 등의 산업 필수제로 영세업체들에게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점은 분명하다.

화물차에 유류보조금이 지급되지만 세전 경유가격의 급상승을 상쇄시킬 수는 없다.

정부가 경유가격 급상승에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뒷짐을 지고 있자 생존이 걸린 화물차 업계 등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등유 불법주유하고 있다.

한편에서는 초저유황 경유의 장점을 살려 친환경성을 향상시키고 바이오디젤 혼합, 연비 우월성, 매연저감장치 기술 등을 들어 고유가의 대안으로 경유차를 오히려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커지고 있다.

이미 환경 친화 연료정책에서 한발 앞서 나간 유럽은 경유차의 경쟁력을 끌어 올리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경유차 사용을 장려하는 분위기다.

그런면에서 고려대학교 박심수 교수가 한 신문의 기고를 통해 ‘고유가와 온실가스저감의 대안으로 연비가 뛰어난 경유차가 대안’이라고 지적한 대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필수소비재가 된 차량 연료에 대해 경유가격이 휘발유 가격보다 높아진 점은 국제 제품가와 환율의 문제로 정유업계나 주유소업계의 폭리로 내 몰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연비가 뛰어나고 친환경성에서도 뒤질 것이 없어진 경유에 대해 세금 조정 등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할 때다.

정부가 계획했던 에너지세제개편 비율인 100:85:50이 무너진 이상 국제 여건을 탓하거나 국내 정유·주유업계에게 잘못을 떠넘기기 보다는 경유차에 대한 혜택 증대나 경유에 부과되는 세금의 과감한 인하만이 생계형 경유사용자의 부담을 줄이고 온실가스 저감 수단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