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급 중단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빚을 것으로 예측됐던 한국가스공사의 총파업이 단 하루만에 막을 내렸다.

이번 파업은 가스공사 창사이래 최초로 시도된 것으로 철도^발전노조와 함께 「가스산업 구조개편 철회 및 공기업 민영화 저지」라는 공동목표로 연대해 진행됐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그런 점에서 이번 파업의 평가는 두가지로 갈린다.
첫째 정부가 가스공사 노조를 가스산업 구조개편 추진시 대화 파트너로써 공식 인정했다는 점에서 노조측이 상당한 결실을 맺었다는 점이다.

임내규 산자부 차관과 박상욱 가스공사 노조위원장이 서명한 합의문에 따르면 가스산업 구조개편과 관련, 「가스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노동조합의 합리적인 대안을 검토하고 추진과정에서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한편, 국내 가스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시기 및 시행방법에 대해 노^사^정 합의를 통해 해결한다」고 되어 있다.

정부가 지난해 11월 가스산업 구조개편 관련 3개 법안을 마련, 단 하루 이틀 사이에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 재가를 받은 뒤 곧바로 국회 이송됐던 점을 감안한다면 노조의 입지가 한층 강화됐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정부는 최소한 구조개편의 시행시기나 구체적인 추진방법을 결정함에 있어서 노조와의 합의를 거쳐야 하고, 이를 어기고 독단적으로 추진할 경우 더 큰 반발과 사회적인 비난을 면키 어려울 전망이다.

그러나 가스공사 노조가 지속적으로 외부에 밝힌 가스산업 구조개편 전면철회에 대한 입장을 파업 몇시간만에 바꾸고 정부가 제시한 협상안에 합의했다는 점은 노동계의 비난과 조합원들간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동안 가스공사 노조는 가스공사의 민영화 부문은 암묵적으로 동의했으나, 가스산업 구조개편에 대해선 근본적으로 문제가 많다며 전면철회를 요구해 왔다.

전면철회에 대한 공감대는 2천여 조합원들을 파업의 대열로 이끌 수 있는 힘으로 작용했고, 또 철도^발전노조와 연대투쟁을 가능하게 한 부분이다.

그러나 노조원의 전권을 위임받은 집행부가 합의서에 서명함에 따라 더이상 노조측에서는 가스산업 구조개편을 철회하라는 목소리는 낼 수 없게 됐다.

실제 지난 25일 서울대 집회장에선 정부와의 합의내용을 전해들은 조합원들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하는 등 노-노갈등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는 또한 연대투쟁에 나선 철도^발전노조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힘으로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제 정부와 가스공사 노사 양측은 대화하고 협력하면서 가스산업 구조개편에 대한 합리적인 시행시기와 방법 등을 모색하는 일만이 남았다.

노조측에서는 합의서에 서명한 만큼 가스산업 구조개편이 국민이익과 산업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적인 협의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는 스스로 약속한 대로 독단과 독선이 아니라 문제점 해결을 위해 노조와의 대화에 성실한 자세를 보여 대국민 이해를 구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