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동차 및 연료가 이슈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들이 시장에 진입하기는 아직 쉽지가 않다.
지난 4월 22일 한국자원경제학회는 에너지가격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해 정책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휘발유 가격의 비대칭성이란 국제원유가격이 내릴 때 국내 휘발유 가격은 조금 하락하는 반면 국제원유가격이 오를 때는 국내 휘발유 가격이 더 많이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처럼 인구 밀도가 높고 산지를 제외하면 토지 이용이 매우 집약적인 조건에선 풍력이나 태양광을 하기에는 땅이 좁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새로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국가정책의 우선 순위에서 밀려 났던 지식경제부의 에너지문제를 중요 국가 정책으로 심도 있게 다루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로 명칭을 변경했다.
시진핑 정부가 출발하기 직전인 2012년 10월 중국 정부는 셰일가스 개발 정책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시도했다.
필자가 학교에 다니던 시절, 라디오만 틀면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라는 말이 흘러 나왔었다.
최근 들어 이웃나라 중국의 수도 북경의 대기질이 매우 심각하다는 전언이다.
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정부차원에서 유류세를 탄력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국가에너지 자주개발율을 35%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해외자원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흔히 거론되는 대체에너지는 전기를 생산하는 대체에너지다.
현재 에너지 산업의 중장기 경영환경은 해외사업 확대라는 기회요인과 국내 발전산업의 매출감소 위협요인이 상존하는 상황이다.
유럽인들은 백조(白鳥)라는 단어처럼 모든 백조를 흰색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18세기 호주에서 검은색 백조가 발견되었고 기존의 인식은 송두리째 바뀌게 된다.
'화석 연료는 머지않은 시점에 고갈 될 것이다'라는 시그널이 여기 저기서 흘러나오는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